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시골학교, 최고의 아이들(26)] 절차탁마(切磋琢磨)

글로벌이코노믹

[시골학교, 최고의 아이들(26)] 절차탁마(切磋琢磨)

박여범에세이
[글로벌이코노믹 박여범 용북중 교사] 절차탁마(切磋琢磨)의 마음으로 시작한 2015년.

절차탁마(切磋琢磨)는 ‘학문이나 덕행 등을 배우고 닦음을 이르는 말’의 고사성어다. 원래 절차탁마(切磋琢磨)는 ‘톱으로 자르고 줄로 쓸고 끌로 쪼며 숫돌에 간다는’ 뜻이다. 학문이나 수양뿐만 아니라 기술을 익히고 사업을 이룩하는 데도 인용된다.

『대학』에 보면 "…如切如磋者 道學也 如琢如磨者 自修也(자르듯하고 쓸 듯함은 학문을 말하는 것이요, 쪼듯하고 갈 듯함은 스스로 닦는 일이다)"라고 하여 절차는 학문을 뜻하고, 탁마는 수양을 뜻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여절여차여탁여마"에서 여(如)자를 뺀 것이 절차탁마이다.

목표 설정에 앞서 진행되어야 할 마음가짐이 반성이 아닐까 한다. ‘톱으로 자르고 줄로 쓸고 끌로 쪼며 숫돌에 간다는’ 절차탁마(切磋琢磨)의 원래의 뜻의 되새기며, 새벽바람에 서재에 앉아 지나온 시간들을 반성하고 내 자신을 돌아다본다.
이미지 확대보기
2013년 교직생활의 터닝포인트가 되었던 학습연구년제 파견(전북교육청)을 잘 마무리하고, 2014년 3월 복직했을 당시의 설레임을 잊을 수가 없다.

본관 현관 앞에서 나를 기다리던 아이들의 초롱초롱한 눈망울, 반갑게 다가와 하이파이브나 포옹을 해 주던 녀석들, 그들과 함께 나는 공동체를 이루고 추억을 만들어 갔다.

그렇게 아이들과 나의 삶은 믿음과 함께 돈독해졌고, 무엇이라 말하지 않아도 따스한 눈빛으로 자신감 있는 서로를 지켜보는 즐거움이 기분 좋은 시간들이었다.

아이들은 나에게 희망이었다. 그들이 있기에 나는 젊음을 유지할 수 있었다. 서로를 얽매어 힘들게 하기 보다는 사랑하며 웃고 지나가는 학교생활로 마음을 비우니 행복하고 아름다웠다.

올 한 해에도 우리 아이들과 선생님들과 학교와 함께 행복을 키워가고 싶다. 크고 대단한 영광이 아니라 작지만 힘 있고 멋진 소망들이 하나하나 이루어지는 2015년을 기다려보련다.

기억은 가물가물 하지만, 누군가 ‘행복은 결코 먼 이야기가 아니며, 행복은 자신의 마음속에 있다’라고 말한 문장 한 구절이 나를 돌아다보게 한다.

학문이나 수양뿐만 아니라 기술을 익히고 사업을 이룩하는 데도 인용되는 고사성어 절차탁마(切磋琢磨)처럼, 자신을 되돌아보고 새롭게 맞이할 학년을 준비하는 우리 학생들의 겨울방학이 되길 간절히 기대한다.

이미지 확대보기
현대물질 문명의 산물인 게임이나 인터넷 여행에서 벗어나 차분하게 독서나 영화, 음악 감상, 손 편지 쓰기, 메모하기, 가족과 여행하기 등을 통해 자신을 연마하고 미래를 향해 허공을 박차고 뛰어오를 수 있는 만반의 준비로 개학을 맞이하길 희망한다.

행복은 만들어가야 한다. 기다리면 다가오는 ‘행운의 수’는 정말 극소수다. 삶을 돌아다보고 반성과 격려를 통한 희망의 미래를 준비하는 것은 학생들만의 일이 아니다.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교사’다. 교사가 행복해야 학생도 행복하다. ‘학생이 행복해야 교사도 행복하고 학부모도 이 사회도 대한민국’도 행복하다. 그 행복의 지름길은 절차탁마(切磋琢磨)다.

I Love You, You Love Me. 희망을 위하여.

▲박여범용북중교사(문학박사·문학평론가)이미지 확대보기
▲박여범용북중교사(문학박사·문학평론가)
/글로벌이코노믹 박여범 용북중 교사(문학박사·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