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4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 신세계백화점, 이마트, GS리테일 등이 식품 관리를 대폭 강화하는 방안을 내놨다.
우선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는 오는 9월까지 식품 신선도 관리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당일 판매 원칙을 적용했던 즉석 조리 식품의 진열 시간을 냉장은 7시간, 실온은 4시간으로 줄였다. 7~8월에는 가열하지 않는 꼬막이 들어간 식품 판매는 중단하고, 게장류는 불시 검사로 신선도를 관리한다.
매장에 입점한 식품 협력사는 ‘해썹(HACCP)’ 등 식품 안전 관리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롯데마트는 식중독균이 많이 발견되는 수산물에 대해서는 살균 소독과 세척을 수시로 하고, 진열 온도를 10도 이하로 유지한다. 고온에 취약한 김밥이나 초밥 등 즉석 조리식품 판매 가능 시간은 조리 후 7시간으로 제한하고, 계란을 사용한 제품은 24시간 내 판매를 권장한다. 잘라서 판매하는 수박 등 커팅 과일은 4시간 내 판매를 원칙으로 정했다. 새벽 시간에 매장 내 상품과 냉방시설에 대한 위생 불시 점검도 실시한다.
조각으로 잘라서 판매하는 수박은 랩 대신 전용 용기에 포장하고, 치즈와 포장육은 0~5도, 도시락과 생선회 등은 0~10도를 유지하도록 판매 온도를 수시로 점검한다.
입점 브랜드를 대상으로는 위생 자율 점검 체크리스트를 작성해 식중독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모든 직원에게는 온라인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마트는 칼과 도마 같은 작업 도구를 수시로 교체하고 협력사 대상 위생 점검을 실시한다. 기존에 이틀간 파매한 전주비빔밥과 나물류는 당일 판매를 원칙으로 하고 점포에서 직접 제조해 판매하는 양념게장 등은 반드시 아이스팩 포장을 하도록 했다.
또 품질관리 담당 상품 안전센터와 연계해 점포에서 만드는 식품류에 대한 정기 점검도 진행한다.
GS리테일은 전국 매장에서 무작위로 상품을 수거해 검사를 진행하고 9월 말까지 점포와 협력사 위생 점검으 2배 강화했다.
GS더프레시의 즉석조리심품 판매 가능 시간은 기존보다 3시간 줄여 운영한다.
육동윤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dy332@g-enews.com






















![[특징주] 영원무역, 7.27% 급등 52주 신고가...NH투자증권 "목표...](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816484205141edf69f862c118235146.jpg)
![[KRX 금현물] 3거래일 연속 하락…1g당 19만800원 마감](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816051909874edf69f862c1182351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