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8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7월 대비 1.1%포인트 상승한 3.4% 기록
국제유가·기상여건 등 일시적 요인으로 반등…근원물가지수는 변화 없어
국제유가·기상여건 등 일시적 요인으로 반등…근원물가지수는 변화 없어

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년=100)으로 전년동월대비 3.4% 상승했다. 지난 6월과 7월 물가상승률은 각각 2.7%, 2.3%로 2개월 연속 2%대를 기록했지만 지난달 다시 3%대로 반등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7월 6.3%로 정점을 기록한 뒤 상승률이 점차 둔화하는 추세였다. 올해 들어서는 1월(5.2%) 이후 2월(4.8%)과 3월(4.2%)에는 4%대를, 4월(3.7%)과 5월(3.3%)에는 3%대를 기록하는 등 상승폭이 꾸준히 감소했다. 지난 7월에는 2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태풍과 집중호우 등 영향으로 농산물 등 식료품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소비자물가도 다시 뛰어올랐다. 생선·해산물, 채소, 과일 등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 물가로 작성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6% 올랐다. 소비자가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생활물가지수도 3.9% 상승했다.
최근 국제유가가 강세를 보인 것도 영향을 미쳤다. 석유류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11.0% 하락했지만 지난달(-25.9%)과 비교하면 하락폭이 크게 축소됐다. 이에 따라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기여도도 -1.49%포인트에서 –0.57%포인트로 0.92%포인트 높아졌다. 7월 대비 8월 물가지수는 1.1%포인트 상승했는데 석유류 가격변동이 80% 이상을 기여한 셈이다.
다만 농산물과 석유류 등 일시적 요인의 영향이 컸던 만큼 기조적인 물가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지수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8월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우리나라 방식의 근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3.9% 상승했는데, 이는 지난 7월(3.9%)과 같은 수치다. 8월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OECD 방식의 근원물가지수) 상승률도 3.3%로 7월(3.3%)과 동일했다.
품목성질별로는 전기·가스·수도가 전년동월대비 21.1% 오르며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다. 가공식품이 6.3% 오르며 두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고, 수산물이 5.8%, 농산물이 5.4%, 외식서비스가 5.3% 등으로 뒤를 이었다. 외식물가가 20개월 만에 최저 상승폭을 기록했지만 여전히 먹거리 물가가 전체 물가상승률을 웃돌았다.
품목별로는 지난해 대비 사과(30.5%), 복숭아(23.8%) 등 과실류 상승률이 두드러졌고 아이스크림(14.3%), 우유(9.4%) 등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소파(27.7%)등 가구류와 티셔츠(14.3%)등 의류도 크게 올랐다. 전기료(25%), 도시가스(21.4%), 지역난방비(33.4%)도 크게 올랐다. 이 외에 택시료(17.8%), 보험서비스료(13.0%), 햄버거(15.4%) 등이 전년동월대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국제유가 상승과 전년도 하락 기저효과로 석유류 하락 폭이 축소됐고 불리한 기상 여건으로 농산물 상승 폭이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물가가 지난달에 비해 상승했다”며 “다만 주로 석유류, 농산물 등 일시적 요인에 의해 물가가 상승함에 따라 기조적 물가 흐름을 보여주는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지수,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각각 지난달과 같은 3.9%, 3.3% 상승률을 보였다”고 말했다.
김성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jkim9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