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카드사, 연체 우려에 ‘급전’ 막고…수익악화에 ‘연회비’ 장사

공유
0

카드사, 연체 우려에 ‘급전’ 막고…수익악화에 ‘연회비’ 장사

연회비 수익 1조3000억 원 돌파…통계 집계 이래 ‘최대치’
카드사 연회비 평균 8만3000원 넘어…전년比 두 배 이상↑
할부수수료도 3조 원대 진입…비용 부담에 주요 서비스 비용↑

카드사들의 본업 수익을 만회하기 위해 연회비와 할부수수료 등을 대폭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카드사들의 본업 수익을 만회하기 위해 연회비와 할부수수료 등을 대폭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시스

카드사들이 현금서비스 등 부진한 본업 수익을 ‘연회비 인상’과 ‘할부 수수료’를 통해 방어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에 따라 대손비용과 이자비용 등 부담이 커지자 ‘무이자할부’ 등 주요 혜택부터 축소하면서 허리띠부터 졸라맸다는 분석이다. 고객 혜택을 줄여 수익 방어에 나섰다는 점에서 소비자 불만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우리·신한·현대·삼성·하나·현대·KB국민·BC카드 등 8개 전업 카드사의 연회비 수익은 1조3312억 원으로 전년(1조2259억 원)대비 8.5%(1054억 원) 늘었다. 연회비 수익은 5년 전인 지난 2018년까지만 하더라도 연간 8827억 원에 그쳤지만 이후 꾸준히 상승해 1조 원을 돌파했다.

특히 할부 수수료 수익은 두 배 이상 늘었다. 카드사들의 할부 수수료는 수익은 3조1734억 원으로 지난해(2조4138억 원)보다 증가했다. 5년 전과 비교하면 거의 두 배 가까이 더 벌었다.

반면 서민들의 급전창구인 ‘현금서비스’ 수수료 수익은 9948억 원으로 전년(9931억 원)과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추세적으로는 하락세가 뚜렷하다.

현금서비스 수수료 수익은 한때 연간 1조 원을 넘어서며 전체 이익 기여도에서 네번째로 비중이 컸지만, 현재 연회비 수익에 밀렸다. 1월 말 현금서비스 잔액은 6조6652억 원으로 12월 말(6조6340억 원) 대비 소폭 느는 데 그쳤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에 연체 우려가 높아지면서 건전성 관리를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카드사 전체 수익에서 절대적인 비중은 여전히 가맹점수수료가 차지한다. 그러나 잇따른 가맹점수수료 인하로 인해 관련 전체 수익은 연간 7조 원에서 8조 원으로 정체 상태다. 결국 카드부문 수익 방어를 위해선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 할부수수료, 연회비 수수료 등에서 늘려야 하는 상황이다.

문제는 할부 수수료와 연회비의 경우 고객 혜택에 직접적인 영향이 크다는 점이다. 장기 무이자할부의 경우 현재 대부분 카드사에서 자취를 감췄다. 6개월 이상 무이자할부를 제공하는 곳도 찾아보기 어렵고, 가맹점별로 2개월에서 3개월 무이자할부 서비스가 전부다.

할부 수수료 부담도 크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2개월 기준 카드할부수수료율은 가장 낮은 곳이 7.90%, 높은 곳은 11.00%에 달한다. 할부 기간을 최대로 했을 때 부과되는 수수료율 또한 가장 낮은 곳이 18.50%, 높은 곳은 19.95%로 법정최고금리(20%)에 가깝다.

연회비 부담도 누적되고 있다. 신용카드 플랫폼 카드고릴라가 작년 상반기 출시된 주요 신용카드 59종의 연회비를 조사한 결과 평균 8만3453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작년 출시된 주요 신용카드 76종의 연회비 평균인 3만8171원보다 두 배 이상 높아진 수준이다.

신용카드의 몸값이 이렇게 비싸진 배경은 카드사들도 ‘비용 부담’에 허덕이는 탓이다. 카드사들은 예금과 같은 고객 돈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은행과 달리 채권 등으로만 자금을 구한다. 이들 자금은 주로 카드 서비스 재원으로 활용된다.

현재 카드채 금리는 3%대 후반으로 떨어졌지만, 카드사들은 이전보다 세 배 가까운 이자를 주고 차환에 나서야 한다. 서비스 원가가 비싸져, 비용 절감이나 서비스 비용 인상 말고는 마땅한 대안이 없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카드사 한 관계자는 “(고금리 때문에) 조달금리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대손비용과 이자비용 등 부담이 가중하면서, 카드사들도 마케팅 비용을 축소하지 않고는 감당하기 어렵다”면서 “현재 불황형 흑자를 지속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