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포스트 총선] 금융당국 양대 수장·산은 부산 이전 '운명은 어디로'

공유
2

[포스트 총선] 금융당국 양대 수장·산은 부산 이전 '운명은 어디로'

김주현 금융위원장·이복현 금감원장 교체 가능성
'여소야대' 정국 유지는 산은 본점 이전 변수로

김주현 금융위원장(왼쪽),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1월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증권업계 간담회에서 기념사진을 찍은 후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김주현 금융위원장(왼쪽),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1월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증권업계 간담회에서 기념사진을 찍은 후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막을 내리면서 총선 이후 금융권도 큰 변화를 맞게 된다.
특히 윤석열 정부의 중간평가 성격이 짙은 이번 총선 결과가 여권에 박하게 나오면서 초대 금융당국 수장들의 교체 가능성이 대두된다.

다만 야권의 승리에도 산업은행 등 국책은행 본점 지방 이전은 계획대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도 지난 2021년 대선 당시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공약한 바 있고, 총선이 끝나면서 지역구 의원 간 이해관계 충돌 가능성이 작아졌기 때문이다.

10일 금융권과 정치권에 따르면 총선에서 여당이 패하면서 금융당국 수장의 운명도 회오리바람을 맞을 전망이다.

물리적 시간이 촉박하지만 21대 국회가 종료되는 다음 달 29일까지 인사청문회 등의 절차를 마쳐놓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금융권 초미의 관심사는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 양대 금융당국 수장들의 교체 여부다.

김 위원장과 이 원장은 윤석열 정부 초대 금융당국 수장이다. 이들은 지난 2022년 5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직후인 같은 해 7월, 6월에 각각 자리에 올랐다.
특히 김 위원장은 지난해 말 교체설이 돌았지만 총선을 앞두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기 등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비해 금융당국 수장의 인사를 최소화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유임됐다.

하지만 이번 총선에서 집권 여당이 패배하면서 국면 전환 인적쇄신 카드로 개각이 단행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만약 개각이 이뤄진다면 정부 출범 직후부터 자리를 지켜온 금융위원장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 원장의 거취도 주목된다. 윤석열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리는 이 원장은 윤 대통령이 집권 후반기 중책을 맡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 원장은 당초 총선 차출 가능성이 점쳐졌지만 출마하지 않고 자리를 지켰다. 이번 총선 과정에서 양문석 편법대출 조사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더불어민주당의 반발을 샀다.

일각에선 윤 대통령이 그를 대통령실 참모로 불러들일 수 있다는 관측을 제기한다. 윤 대통령의 신임을 받는 만큼 대통령실에서 역할을 다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금융권에선 산업은행 부산 이전 추진 여부도 관심사다. 산은 부산 이전은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당시 공약이지만 여소야대 정국에서 법안 처리가 가로막혀 있었다. 산은을 부산으로 이전하려면 본점을 서울에 두도록 한 산은법 개정이 필수적이다.

다만 여소야대 정국이 유지됐음에도 불구하고 산은 본점의 부산 이전은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민주당이 산은 부산 이전 자체를 반대했다기보다 총선 이후로 논의를 미뤄온 측면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민주당도 대선 공약으로 공공기관 추가 지방 이전을 약속한 만큼 여야 모두 지역균형발전론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정부 여당의 총선 패배로 산은 등 국책은행 이전 논의 자체가 중단될 것 같지는 않다"면서 "민주당 내부에서도 수도권 의원들과 영남권 의원들의 입장차가 있지만, 지방균형발전은 민주당의 전통적인 어젠다인 만큼 반대 명분이 약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