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OO페이가 대세"…간편결제 서비스 日평균 이용액 1조 육박

글로벌이코노믹

"OO페이가 대세"…간편결제 서비스 日평균 이용액 1조 육박

전년 대비 9.6% 증가
네이버페이와 삼성페이를 연동해 결제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이미지 확대보기
네이버페이와 삼성페이를 연동해 결제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스마트폰이나 PC에 미리 저장해둔 신용카드, 은행 계좌 등의 정보 거래 시 비밀번호 입력, 단말기 접촉 등의 방법으로 간편하게 결제하는 서비스인 간편지급 서비스 이용 금액이 하루 평균 1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4년 중 전자지급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간편지급 서비스 이용 금액은 일평균 9594억원으로 전년 대비 9.6% 증가했다. 이용 건수는 3072만 건으로 12.3% 늘었다. 이용 금액과 이용 건수 모두 2016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다다.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에는 간편지급 서비스 이용 금액이 일평균 4491억원이었으나 4년 만에 113.6%(5103억원) 늘어났다.

간편지급 서비스는 신용카드 정보를 휴대전화에 미리 저장하고 공인인증서 없이 비밀번호나 지문인식 등 방법으로 간편하게 결제하는 서비스다.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삼성페이, 애플페이, 페이북, KB페이 등이 그 예다.
간편지급 서비스 제공 업자별로 보면 전자금융업자의 비중이 2023년 48.9%에서 2024년 50.2%로 확대됐다. 반면 금융회사 비중은 2023년 25.6%에서 2024년 24.4%로 축소됐다. 휴대폰 제조사는 2023년 25.6%에서 2024년 25.5%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전자금융업자의 경우, 선불전자지급수단에 기반한 간편지급 이용 비중이 계속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2021년 29.4%였던 전자금융업자의 간편지급 서비스 내 선불전자지급수단 비중은 2022년 31.2%, 2023년 31.8%, 2024년 33.7%로 지속적으로 확대됐다.

한은 관계자는 "전자금융업자, 휴대폰 제조사, 금융회사 등이 하나씩 간편지급 서비스를 갖추는 가운데 온·오프라인 결제 시 포인트 지급 등 혜택을 늘리고 있어 선불 기반의 간편지급 서비스가 많이 쓰이고 있다"면서 "이에 성장세가 유지될 여지가 크다"고 말했다.

자료=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자료=한국은행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