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굿즈 사려고 난리인데… 외국인들 회원가입 못해 구매 포기

글로벌이코노믹

K굿즈 사려고 난리인데… 외국인들 회원가입 못해 구매 포기

한국 온라인 쇼핑몰 '역직구 수요' 늘었지만… 휴대폰 인증 등에 막혀
서울 중구 명동을 찾은 외국인 여행객들이 화장품 매장 앞을 지나고 있다. 지난해 해외 소비자가 오픈마켓 등을 통해 구매한 화장품 등 K뷰티' 상품 규모가 10억 달러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향료·화장품 해외 역직구 금액은 9억7300만 달러로 집계됐다. 2019년 이후 5년만에 17배 넘게 확대됐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서울 중구 명동을 찾은 외국인 여행객들이 화장품 매장 앞을 지나고 있다. 지난해 해외 소비자가 오픈마켓 등을 통해 구매한 화장품 등 "K뷰티' 상품 규모가 10억 달러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향료·화장품 해외 역직구 금액은 9억7300만 달러로 집계됐다. 2019년 이후 5년만에 17배 넘게 확대됐다. 사진=뉴시스
K-푸드, K-드라마, K-뷰티 등 K-컬쳐가 세계인의 사랑을 받으면서 외국인들이 한국 온라인 쇼핑몰에서 한국 제품을 직접 구매(역직구)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지만, 휴대폰 인증 등에 가로 막혀 회원가입 조차도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외국인이 국내 상품을 온라인으로 직접 구매하는 '역직구'를 활성화하려면 개방적인 회원가입 절차를 도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은 금융결제국은 28일 '외국인 국내 상품 인터넷 직접구매(역직구)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017년 94조2000억원에서 2024년 254조4000억원으로 급성장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외국인의 역직구는 6000억원에서 1조6000억원으로 늘어나는 데 그치면서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액의 0.6% 수준에 머물고 있다.
반면 내국인의 해외 직구는 급증했다. 2017년 2조2000억원이던 직구 금액은 지난해 8조1000억원으로 늘었다.

한은은 역직구 시장이 성장히지 못하는 원인으로 국내 쇼핑몰의 폐쇄성을 지적했다.

특히 회원가입 시 국내 개통 휴대전화를 통해 본인확인을 하는 게 일반화돼 있는데, 주민번호가 없는 외국인은 회원가입 자체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반면 아마존, 이베이, 테무, 아마존 등 해외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은 회원가입 절차가 간편하다. 일반적으로 가입 희망자가 적어낸 이메일, 휴대전화 번호 등을 확인한 뒤 앞으로의 거래 내역을 통보할 수만 있다면 가입을 허용하고 있다.

추승우 한은 전자금융팀 차장은 "외국 이커머스는 이메일주소나 SNS 등을 활용한 사용자 인증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해외에서 발급된 페이팔·알리페이 등 해외 간편 지급 서비스도 대금 지급 수단으로 적극 수용해 결제 편의성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해외에서 발급한 카드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온라인몰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국내 온라인 가맹점 중 비자, 마스터카드, 유니온페이 등 해외에서 발급된 글로벌 브랜드 카드를 사용 가능한 가맹점은 약 3~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은 다양한 결제 수단을 허용하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를 쓸 수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