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측, 러트닉 상무장관에게 '조선 협력 프로젝트' 의사 건내
만족한 반응 보여 성사 가능성 높아
한미 조선업 동맹 본격화할 것이란 기대감 커져
만족한 반응 보여 성사 가능성 높아
한미 조선업 동맹 본격화할 것이란 기대감 커져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25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의 하워드 러트닉 장관 자택에서 열린 관세 협상에서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자'는 의미의 '마스가(MASSGA)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 조선 산업 협력 구상을 미국 측에 제안했다. 러트닉 장관도 우리 측 제안에 상당히 만족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마스가 프로젝트는 트럼프의 정치 구호인 '마가(MAGA)'에 '조선업(Shipbuilding)'을 결합해 만든 명칭이다. 한국 조선사들이 미국 현지에 대규모로 투자하고 이를 뒷받침할 대출·보증 등 금융 지원을 포함한 패키지형 협력안으로 구성됐다. 한국은 수십조원 규모의 자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한미 조선 동맹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측이 자국 조선업 재건을 위해 한국에 여러 차례 러브콜을 보냈고, 우리 조선사들 역시 현지 생산 거점 확보와 미국 업체들과의 협력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서다.
업계는 이번 제안이 한미 조선 동맹의 결실을 이끌 핵심 열쇠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조선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협력 방안이 나온 것은 아니다. 다만 이번 제안이 조선업 협력과 관세 문제 해결의 핵심이 될 가능성이 크다"며 "미국 조선업 부활은 미국 측에도 절실한 과제"라고 말했다.
구종수 동명대 군사학 교수는 "(한미 조선업) 협력은 미국이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해양 안보를 유지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 해양전략으로 봤을 때 필요하다"며 "우리 기업에게도 이익이 되는 만큼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