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분 최대 98% 매물로…생보사 ‘2파전’에 글로벌 자본까지 가세
예비입찰서 1조 제시한 한화·7200억 실탄 확보한 흥국 ‘정면승부’
AUM 66조8천억 독립운용사 최대어…밸류에이션·우발부채가 변수
예비입찰서 1조 제시한 한화·7200억 실탄 확보한 흥국 ‘정면승부’
AUM 66조8천억 독립운용사 최대어…밸류에이션·우발부채가 변수
이미지 확대보기13일 업계에 따르면 이지스자산운용 지분 매각을 위한 본입찰이 본격화하면서 시장 관심이 집중하고 있다. 매각 대상은 고 김대영 전 회장의 배우자인 손화자 씨 지분 12.4%, 재무적 투자자(FI) 지분 66.6%, 여기에 대신금융그룹(9.13%), 우미글로벌(9.08%), 금성백조주택(8.59%)을 더한 총 98% 규모다. 사실상 회사 전체가 새 주인을 찾는 셈이며, 인수 금액은 당초 5,000억 원대에서 8,000억~1조 원대 수준으로 뛰어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입찰에는 한화생명·흥국생명 등 국내 보험사 2곳에 더해, 글로벌 사모펀드 힐하우스인베스트먼트, 싱가포르계 부동산 운용사 캐피탈랜드 등 2~3곳의 해외 자본까지 가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지스자산운용은 2010년 설립 이후 10여 년 만에 국내 1위 부동산운용사로 올라선 대체투자 강자다. 2012년 영국 런던에서 첫 해외 자산을 매입하며 본격적으로 글로벌 포트폴리오를 구축했고, 지난해 말 기준 운용자산(AUM) 66조8,000억 원으로 부동산 펀드 시장 점유율 1위를 굳혔다.
업계에서는 한화·흥국의 2파전 구도가 더욱 뚜렷해졌다는 평가다. 한화생명은 최근 수익성 악화가 이어지며 상반기 투자손익이 전년 대비 74.6% 급감했고, 운용자산이익률 역시 3.2%로 업계 평균에 미달한다. 내부적으로 최고투자책임자(CIO) 체제를 개편할 만큼 투자 부문의 체질 개선이 시급한 상황에서, 국내 최대 대체투자 플랫폼을 흡수해 운용 경쟁력을 끌어올리려는 의지가 강하다는 분석이다.
특히 지난 8월 예비입찰에서는 한화생명이 1조 원 규모의 최고가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심을 끌었다. 본입찰에서도 두 생보사가 적극적 경쟁을 이어간 것으로 전해진다. 시장에서는 이번 매각이 국내 대체투자 지형을 흔드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본다. 2019년 코람코자산운용이 LF그룹에 편입된 데 이어, 이지스까지 생보사 품에 들어갈 경우 독립계 대형 운용사는 사실상 자취를 감추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운용업계가 2020년 이후 침체를 겪었지만, 오히려 장기 자금을 굴리는 보험사에게는 저점 매수에 가까운 진입 시기”라며 “누가 이지스를 가져가느냐에 따라 국내 대체투자 판도가 재편될 수 있다”고 했다. 한편 우선협상대상자는 이르면 연내 선정된다.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거쳐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내년 상반기 소유권 이전까지 마무리될 전망이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일본증시] 닛케이평균지수 상승...TOPIX, 사상 최고치 경신](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013155004684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