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다음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추가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왔다.
노동시장이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면서 세 번째 연속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이라는 예상이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유력하게 나왔다고 로이터통신이 12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로이터가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 참여한 경제학자 105명 중 80%(84명)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다음달 10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해 3.50~3.75% 범위로 조정할 것으로 내다봤다. 나머지 21명은 동결을 예상했다. 이는 지난달 조사보다 인하 가능성을 더 높게 본 결과다.
◇ “노동시장 약세, 인하 근거로 작용”
미 연준은 지난달 0.25%포인트를 인하했으나 내부적으로 의견이 갈렸다. 제롬 파월 의장은 “12월 추가 인하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미 상원이 단기 예산안을 통과시키며 셧다운 종료가 임박함에 따라 12월 회의 전 고용·물가 지표가 다시 공개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 인플레이션 4년째 목표 초과
연준이 중시하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4년째 목표치인 2%를 웃돌고 있다. 로이터 설문에 따르면 이 수치는 2027년까지도 2%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됐다. 뱅가드의 조시 허시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장기적인 목표 초과는 연준 신뢰성에 부담을 줄 수 있다”며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을 단순한 일시적 요인으로만 볼 수 없다”고 말했다.
◇ 경기 성장률 둔화와 완만한 실업 증가
로이터 조사에서 응답자의 약 70%는 “셧다운 이후 고용 상황이 큰 변화 없이 유지됐다”고 평가했으나 16명은 “채용이 악화됐다”고 답했다. 개선됐다고 답한 전문가는 없었다. 실업률은 8월 기준 4.3%로 보고됐으며 내년 평균은 4.5%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 경제는 2분기 3.8%, 3분기 2.9% 성장했으나 4분기에는 1.0%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후 2027년까지 연평균 1.8%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준은 이를 물가 자극이 없는 ‘잠재 성장률’ 수준으로 보고 있다.
로이터는 “노동시장 약세가 인플레이션 안정보다 더 큰 위험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다수의 경제학자는 연준이 경기 방어를 위해 최소 한 차례 더 금리를 내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뉴욕증시] 다우지수, 사상 첫 4만8000 돌파](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1306210504006be84d87674118221120199.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