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0t급 합동화력함, 미사일 100여기 탑재...문제는 2020년대 후반 전력화
우리 군이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억제력 확보와 응징 보복을 위해 도입하기로 한 '합동화력함'에 이목이 집중된다. 북한이 남한을 사정권으로 하는 신형 지대지 탄도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할 합동화력함이 북한 신형 탄도탄을 제압할 수 있을지가 관심을 끌고 있다.
국방부는 14일 2020~2024년 국방중기계획을 발표하면서 핵·WMD 위협 대응 등 전략적 억제 전력 확보를 위한 신규 사업으로 합동화력함을 건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합동화력함은 대량의 함대지 미사일을 탑재해 지상 화력작전을 지원하는 함정이라면서 국내 건조로 2020~2024년 내 추진해 2020년대 후반 2~3척 전력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합동화력함은 배수량 6000t급의 차기 구축함(KDDX) 정도의 규모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합동화력함은 현재 해군이 운용하고 있는 사거리 1000km급의 해성2 함대지 미사일과 사거리 200km급의 전술함대지 유도탄, 현무-2 지대지 탄도탄 등 100여발을 탑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마디로 '떠다니는 탄약고'다.
합동화력함이 도입되면 동해와 서해에 떠 있으면서 북한의 핵심 시설과 전략 목표를 타격할 수 있기 때문에 강력한 억제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합동화력함으로부터 100발 이상의 집중포화를 맞을 각오를 하지 않고선 선제공격을 감행할 수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북한이 최근 잇따라 시험발사한 북한판 이스칸데르 미사일과 대구경조종방사포, 북한판 전술 지대지 미사일 등 3종 신형 무기체계에 대한 대응 전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사시 북한이 이들 3종 무기로 기습공격해 우리군의 육상 기지가 타격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반격해 초토화할 수 있는 역습 미사일 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북한은 장거리 정찰기와 대형 함정이 없어 우리 해군이 해상 작전에 나설 경우 추적, 공격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대량의 함대지 미사일을 적재한 합동화력함은 북한의 미사일 부대의 발목을 묶어둘 무기가 될 수 있다. 문제는 합동화력함 전력화 시기다. 적어도 앞으로 10년 정도는 기다려야 한다. 강펀치를 가진 떠다니는 탄약고의 전력화 시기를 앞당기는 것이 우리군 당국이 풀어야 할 시급한 숙제다.
박희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cklond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