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경연. 리쇼어링 저해 요인은 고임금 때문

글로벌이코노믹

한경연. 리쇼어링 저해 요인은 고임금 때문

한국경제연구원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경제연구원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 기업의 리쇼어링(해외공장 국내복귀)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노동비용의 국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일 미국 민간조사연구기구인 컨퍼런스보드의 자료를 이용해서 2010∼2018년 우리나라 제조업의 단위노동비용을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한 주요 10개국과 비교한 결과, 국내 단위노동비용은 연평균 2.5% 증가했지만 주요 진출국 10개국은 0.8% 감소했다고 밝혔다.

단위노동비용은 상품 1단위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노동비용이다.
국가로 보면 중국의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이 연평균 2.5%로 우리나라와 같았고, 미국 1.2%, 브라질 0.8%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은 3.8%, 독일 2.7%, 오스트리아 2.3%, 싱가포르 2%, 인도 1.1%, 멕시코 0.8%, 폴란드는 0.2% 단위노동비용이 줄어들어 제조원가 경쟁력이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경연은 우리나라의 단위노동비용 증가는 노동비용이 노동생산성보다 빠르게 올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2010∼2018년 우리나라의 1인당 노동비용은 연평균 5.2% 증가했지만 1인당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2.6%에 그쳤다.

반면 주요 10개국의 경우 1인당 노동생산성이 3.9% 증가, 노동비용 증가율 3%를 상회했다.

일본의 경우는 노동생산성 연평균 3.4% 늘었지만 1인당 노동비용은 도리어 0.5% 감소했다.

우리나라와 단위노동비용 증가율 수준이 같은 중국의 경우도 1인당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연평균 9.2%로 높았으나, 1인당 노동비용은 그보다 더 높은 11.9%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