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경찰과 싸우랴 시민단체와 싸우랴 바쁜 홍 시장과 대구시

글로벌이코노믹

경찰과 싸우랴 시민단체와 싸우랴 바쁜 홍 시장과 대구시

대구참여연대 "지난 25년간 정부와 대구시의 지원 단 한 푼도 받지 않았다"
대구시 동인청사 전경이미지 확대보기
대구시 동인청사 전경
민생에 전념해야 할 홍준표 시장과 대구시가 경찰과 싸우랴 시민단체와 싸우랴 바쁘다. 퀴어축제에서의 대구경찰과의 충돌과 이어진 대구시청 압수수색 과정에서 보여준 홍준표 시장의 태도, 시민단체들에 대한 폄훼성 발언이 맞물리면서 매를 벌고 있는 형국이다.

시민단체들은 연일 홍 시장과 대구시를 향해 날 선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지난 26일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는 "시장의 권한은 시장에게 주어진 권한이 아니라 시민들이 위임한 권한이기 때문에 조심스럽고 겸손하게 활용되어야 한다."면서 "홍 시장이 지금 보여주는 모습은 자신에게 본래 주어진 권한처럼 마구잡이로 휘두르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좋아하시는 법치주의는 시민들이 지켜야 할 원칙이 아니라 권한을 가지는 행정과 정치인들이 그 권한을 제한하기 위해서 제시된 원칙이다."라고 강조하고 "이처럼 자기에게 주어진 권한에 대한 법치주의는 무시하고, 시민들의 권리도 무시하고, 경찰도 무시하고, 법원도 무시하고, 이것이 정권의 음모인 냥 말하는 시장이 제대로 된 시장인지 의심스럽다."고 냉소를 퍼부었다.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는 "홍 시장에게 필요한 것은 겸손과 부지런함, 공식적인 제도와 집행에 대한 존중, 그리고 SNS 중단이다. 대구시민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것들이다."라며 "시민단체와 싸우는 시장, 경찰과 싸우는 시장, 법원을 무시하는 시장, SNS 정치만 하는 시장은 시민에게 필요없다는 것을 깨닫기를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경찰의 압수수색에 대해서도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는 "홍 시장의 SNS 활동이 공직선거법상의 위반혐의가 있다는 시민단체의 고발에 따른 수사활동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라고 대구시의 보복수사? 주장을 일축했다.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는 "홍 대구시장은 불통 시정에 대해 겸허히 반성하고 사죄하는 것이 먼저이지, 날뛸 일이 아니다.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진 것처럼 독선·오만·불통으로 인한 자업자득이 이번 사태를 불러온 것은 아닌가를 성찰하길 바란다."고 질타했다. 이어 "홍 시장의 협박정치에 주눅들지 말고 엄중하게 수사해 일벌백계 할 것을 경찰에 촉구했다.

대구참여연대도 26일에 이어 27일 홍 시장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대구참여연대는 홍 시장이 경찰의 압수수색을 당한 뒤 시민단체를 향해 "특정 정파의 선봉대에 불과한 단체들이 걸핏하면 고소.고발이나 하고 하는 일마다 시민을 핑게로 반대나 일삼는 그런 사람들을 보면 도대체 저들은 무얼 해서 먹고 사는지 의아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한데 대해 "홍 시장의 시민사회에 대한 빗나간 사고를 두고만 볼 수 없다"면서 "지난 25년간 정부와 대구시의 지원 단 한 푼도 받지 않았다"고 강하게 맞받아쳤다.

보도에 따르면 앞서 홍 시장은 지난 17일 대구퀴어축제에서 공무원들을 동원해 도로 행진을 통제하려다 이를 제지하는 대구시경찰청과 충돌을 빚었고, 23일(금) 오전 경찰이 대구시청을 공직선거법 위반행위로 압수수색을 단행한 데 대해서도 홍 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구경찰이 이제 막간다', '눈에 보이는 게 없나 보다' 라면서 경찰을 맹비난했다.

대구참여연대 역시 압수수색에 관해서 "홍 시장과 측근들이 자초한 문제, 경찰은 할 일 하고 있을 뿐"이라고 말하면서, "홍 시장의 시민사회에 대한 빗나간 사고를 두고만 볼 수 없다.며 "권력을 감시하는 단체로서 권력감시 활동의 독립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창립 25년이 된 지금까지 중앙정부는 물론이고 대구시의 위탁사업이나 공모사업을 불문하고 단 한 번도 참여한 일이 없고, 단 한 푼의 돈도 지원받은 적이 없다."고 분노를 감추지 않았다.

대구참여연대는 "홍 시장은 사실과 다른 말로 대구참여연대 및 같은 원칙으로 활동하는 시민단체를 음해하고 시민들의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후로도 음해를 한다면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물을 것이다."라고 강력하게 경고했다. 그러면서 "시민단체 지원금은 공공기관의 일 대신하며 받는 최소한의 금액"이라며 "그마저 보수단체가 압도적으로 많다"고 비판했다.

대구참여연대는 "시민단체들의 여러 활동 중 정부나 대구시의 지원금으로 하는 사업들도 있지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뿐만아니라 그 일 역시 시민단체가 더 전문적이고 효율적이기 때문에 시민단체에 맡기는 일이다."라고 주장했다.

또 "공모사업의 경우 인건비는 제외되는 등 최소한으로 지원해 시민단체들이 오히려 정부기관의 지원을 기피하는 현상까지 생긴 지 오래다."라며, "홍 시장은 지난 정권 때 진보 단체에 엄청나게 큰 예산을 지원한 것처럼 과장하고 있지만 이 또한 사실과 거리가 멀다."고 어이 없어 했다.

이어 "지난 수십년간 새마을운동협의회, 바르게살기협의회, 자유총연맹 등 국민운동 3단체는 아예 특별법으로 대규모의 운영비와 인건비, 사업비를 지원받아 왔고, 위탁사업, 공모사업 등도 보수성향의 단체들이 압도적으로 많이 지원받아 왔다. 특히 대구는 더 그러했다."라고 조목 조목 반박했다.

대구참여연대는 "권력감시 활동의 공신력을 위해 정파적 중립성을 지키려 노력해 왔다. 의심된다면 대구참여연대가 지난 25년간 발표해 온 성명서 등을 찾아보라."면서 "색안경을 끼고 보면 같은 색으로만 보인다. "고 홍 시장의 시각이 왜곡 편향됐음을 지적하며, "우리의 주장에 문제가 있다면 이참에 민간의 중립적 인사들로 검증단을 꾸려서 대구시의 민간이전예산을 어떤 단체들이 지원을 많이 받고, 어떤 활동에 쓰였는지 제대로 살펴보자."고 제안했다.

대구참여연대는 "대구시 예산 1원도 받을 생각 없다"고 잘라 말하고 "대구시 예산이 홍 시장의 사금고가 아니다. 그러나 홍 시장은 이미 대구시의 공적 기구나 인력, 예산을 사유물로 생각하고 있다. 고 꼬집었다. 대구참여연대는 "이런 사고방식 때문에 대구시 유튜브 사유화 문제가 발생했고, 우리가 고발한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대구참여연대는 "대구시가 어떤 단체가 보수단체가 인가를 판별하여 지원한다면 그것이야말로 공공의 원칙과 공정을 무너뜨리는 일이다.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경고하면서 "홍 시장은 기업의 사주가 아니라 대구시정의 수장이다. 본인이 누구인지부터 제대로 알아야 할 것이다."라고 일침을 가했다.


정준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g900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