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반도체 패키징 등 180개 기술 국제 공동개발에 1.9조 투입
정부가 국내 주요 산업에서 당장 급한 ‘초격차 급소기술’의 빠른 확보를 위해 산업 연구개발(R&D)의 문호를 외국 기관에 개방한다.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방문규 장관 주재로 열린 주요 기업 최고기술책임자(CTO) 간담회에서 이러한 내용이 포함된 '글로벌 기술 협력 종합 전략'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2024년부터 총 1조9000억원을 투입해 국내 단독 개발이 어려운 80개 초격차 기술과 100개 산업원천기술을 국내 기업과 해외 연구기관의 공동 연구 방식으로 신속하게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대상이 되는 핵심 기술은 △3년 이내로 국내 개발이 불가능하거나 해외에 원천기술이 있는 경우 △국제 협력으로 개발기간(1년 이상) 및 비용(50% 이상) 절감이 가능한 경우 △신시장 개척을 위해 해외 인증·실증 및 글로벌 표준 확보가 필수인 분야 등으로 한정된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올해 5조7000억원 규모의 산업 R&D 중 6%에 못 미친 국제 협력 비중을 2028년까지 15% 이상으로 확대하는 큰 방향을 제시했다.
80개 초격차 급소기술은 △차세대 인터포저를 활용한 첨단 패키징 기술 △서비스 로봇용 다중감각 지능 모듈 등 각종 첨단 산업의 가치사슬 내 국내 기술력이 취약한 핵심기술을 의미한다.
정부는 이들 급소기술을 단기간에 신속하게 확보하기 위해 먼저 2024년에 1487억원 이상을 투입해 48개 기술 개발에 착수하고, 2030년까지 1조2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또한, 100개 산업원천기술은 △차세대 인공지능(AI) 컴퓨팅‧반도체 △세포 재생 신약 △이산화탄소 포집력이 향상된 식물 등 해외 원천기술을 토대로 국내 산업의 차세대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술을 의미한다.
정부는 매사추세츠공대(MIT)‧스탠퍼드대 등 해외 우수 연구기관에 ‘산업기술 협력센터’를 설치하고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2024년(665억원) 약 50개 과제를 시작으로, 오는 2028년까지 687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정부는 이들 180개 기술의 선정과 국제 공동 연구는 해외 동료 평가, 무기명 전문가 평가 등 다층 검증을 통해 국제 협력이 필수 불가결한 기술을 중점적으로 선정 및 추진하고, 상시 점검과 연 2회 이상의 진도 점검 등을 통해 과제 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