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패스 도입 1주년…가입자 338만명·970억 환급

글로벌이코노믹

K-패스 도입 1주년…가입자 338만명·970억 환급

지난해 5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K패스를 도입했다.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이용하면 환급금을 지급하는 K-패스가 1주년을 맞은 가운데 이용자 수가 338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 등에 따르면 4월 말까지 K-패스 이용자 수는 약 338만명으로 집계됐다. 4월 기준 전국 주민등록 20세 이상 인구 4348만명 대비 7.8%가 K-패스를 이용하는 셈이다.

이는 3월 말(326만명)보다 12만명 늘어난 규모로 이 같은 추세라면 상반기 중 35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지출한 대중교통비의 일부를 최대 60회까지 환급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5월 도입됐다. 일반인은 20%, 만 19세부터 34세까지 청년은 30%, 저소득층은 53%의 환급 혜택을 받는다.
도입 첫 달인 지난해 5월 151만635명이 가입했으며 3개월 만인 작년 8월 216만5866만명으로 200만명을 넘겼다. 올해 들어서는 1월 282만명→2월 300만명→3월 326만명→4월 338만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K-패스 적용 지역은 올해 210개 지자체로 확대됐으며, 다자녀 가구 할인 혜택도 신설됐다. 올해 예산은 2374억6000만원이 편성된 상태다. 3월 말 기준 환급금은 약 970억원이다.

K-패스는 선불카드, 후불카드, 모바일 카드(삼성페이 등) 등 여러가지 형태로 발급된다. 19세 이상 K-패스 운영 지역 주민이라면 가입 가능하며 회원가입한 날부터 버스(광역버스 포함), 도시·광역철도(신분당선, GTX 등 포함), 공항철도 등을 이용하면 적립 가능하다. 올해 17개 시·도 210개 시군구에서 K-패스 혜택을 지급하고 있다.

하루 1일 최대 2회까지만 적립되며 하루 3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했다면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2회까지 지급한다. 월 60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만 산정해 지급한다. 매달 20만원 넘게 대중교통 이용비가 나오는 경우 50%만 적용해 지급한다. 경기, 인천은 해당되지 않는다.

K-패스를 이용하면 월 평균 1만5060원을 환급받을 수 있다. 1년이면 약 18만720원을 아낄 수 있다. 지난해에는 K-패스로 이용자 1인당 평균 약 1만8000원을 환급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서도 K-패스 이용 후 대중교통 이용횟수가 월 평균 6.3회 증가하는 등 대중교통 활성화 효과를 보였다.

다만 지난해 연말에는 K-패스 참여 지자체 25곳이 예산 소진으로 인해 감액 지급하는 일도 발생했다. 이에 지역별 편차를 줄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성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0328sy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