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여섯 번 미뤄진 '원당의 미래'…'원당역세권 발전 계획'은 3년째 표류중

글로벌이코노믹

여섯 번 미뤄진 '원당의 미래'…'원당역세권 발전 계획'은 3년째 표류중

2022년부터 번번이 예산 부결, 시정에 '브레이크'
시의회, 정책방향 동의 불구 '구체적 로드맵' 요구
고양특례시청. 사진=고양시이미지 확대보기
고양특례시청. 사진=고양시
고양특례시가 원당역 일대를 균형발전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 중인 ‘원당역세권 종합발전계획’이 3년째 표류 중이다. 시는 지난 2022년부터 총 여섯 차례에 걸쳐 관련 예산을 시의회에 제출했지만, 번번이 부결되면서 계획 수립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20일 고양시에 따르면 원당역세권 일대는 고양시 도시기본계획에서 ‘지역중심’으로 지정돼 있는 핵심 공간이다. 그러나 고령화와 상권 쇠퇴, 행정기능 이전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중심 기능이 약화되면서 도심 공동화 우려가 제기돼 왔다.

이에 시는 원당을 단순한 주거지에서 벗어나 고용과 문화, 여가 기능이 융합된 복합도심으로 재편하기 위한 마스터플랜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종합발전계획 용역 예산을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다. 그러나 시의회는 매년 예산안을 부결시키며 계획 추진에 제동을 걸고 있다.

시의회는 한편으로는 “원당의 침체가 우려된다”며 시 청사 이전 등에 따른 대책을 주문하면서도, 정작 이를 위한 기초 계획조차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율배반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시 관계자는 “정책적 방향성은 시의회도 동의하면서 실행을 위한 최소한의 밑그림조차 그리지 못하도록 반복적으로 예산을 막는 것은 모순”이라고 말했다.
현재 고양시는 원당역세권을 인근 창조혁신캠퍼스, 수소도시 등과 연계해 정주·교통·고용·생활 기능을 복합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전략거점으로 육성하고자 한다. 고양연구원에서 기초 연구가 일부 진행 중이지만, 시는 개별 연구로는 장기적 도시계획과 연계된 실행 방안을 도출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시는 이번 예산 편성에서 기존의 청사 이전 반대 여론과는 분리해 원당역세권의 상업 기능 회복과 지역 자족기능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는 원당의 미래를 결정짓는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며 “정쟁이 아닌 지역발전이라는 큰 틀에서 시의회의 협조를 간절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한편, 일각에서는 도시개발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종합계획 수립 이후 실제 실행 단계로 이어질 수 있는 재원 마련과 실현 가능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