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오 차장은 이날 요하네스버그 현지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은 이번이 아프리카에서 열린 첫 G20이란 점을 고려해 아프리카와의 연대·협력 의지를 보였다"며 "또 세계무역기구(WTO) 다자무역체제 복원의 필요성을 언급했다"고 말했다. 이어 "에너지 고속도로와 햇빛·바람소득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 정책의 모범사례도 소개했다"고 덧붙였다.
향후 G20 정상회의 일정에 대한 내용도 공개됐다. 그는 "전날 채택된 'G20 남아프리카공화국 정상선언' 말미에 내년 미국, 2027년 영국, 2028년 대한민국이 의장직을 수임한다는 점이 명시됐다"면서 "2028년은 G20 출범 20주년이 되는 해로, 복합적인 국제 현안에 대한 협력 강화를 도모하는 데 우리나라가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G20 남아공 정상선언'에 미국이 반대 의사를 밝혔다는 점에 관해선 "미국은 G20과 관련한 셰르파 회의(정상회의 실무담당 회의)에도 참석했고, (선언문의) 문안 협상에도 참여했다"면서 "미국이 G20에 불참한 것은 꼭 G20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G20은 국제경제 및 기후변화 등 다양한 현안이 논의되는 장으로 주요 현안들은 계속 다뤄질 것"이라 덧붙였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

















![[2026 대전망] 李정부 대일 외교 과제·전략](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210836370003335e857d0101062522498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