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춘500] 미국(4)–버크셔 해서웨이 (Berkshire Hathaway)
[글로벌이코노믹=김태훈 기자] 세상에서 가장 비싼 점심은 어느 나라 어느 레스토랑의 메뉴일까? 아마 전 세계 어떤 호화찬란한 7성급 호텔 요리나 미슐랭 3스타 셰프의 특급 메뉴들이 경합을 벌인다 해도 워렌 버핏(Warren Buffett)과의 한끼 점심 식사 가격보다 비싼 메뉴는 없을 것이다.올해도 어김없이 투자의 귀재 버핏과의 점심 식사가 경매에 붙여졌는데 작년보다 2배나 높은 220만 달러(약 22억원)에 낙찰됐다. 수많은 투자자들과 부자가 되기를 열망하는 일반인들까지 모두가 버핏의 눈과 입에 주목하며 그의 투자 이야기를 듣고 싶어한다. 이 버핏이 경영하고 있는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는 2014년 미국 포춘500 4위에 오른 기업이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 본사를 둔 다국적 지주회사다. 즉 다른 회사의 주식에 투자해 해당기업의 경영을 지배하고 관리하는 회사다. 그러나 버크셔 해서웨이의 뿌리는 1939년 올리버 체이스(Oliver Chace)가 세운 섬유회사로 알려져 있다. 1차 대전 종료 후 섬유산업이 침체되어 경영난을 겪던 중 1962년 버핏이 버크셔 해서웨이의 주식을 사들이기 시작해 경영권을 갖게 되었다. 1965년 버핏이 여러 회사의 지주회사로 다시 설립한 이래 자산 장부가격이 거의 연평균 20%씩 증가했다.

1. 버크셔 해서웨이의 개요
글로벌 명칭
Berkshire Hathaway
영어
Berkshire Hathaway, Inc.
한국어
버크셔 해서웨이
(또는 버크셔 해더웨이)
약어
뉴욕증권거래소(NYSE): BRKA, BRKB
설립일
1839년
산업분야
투자회사
주요인물
설립자
올리버 체이스(Oliver Chace)
주요제품
또는 서비스
투자, 보험(재산보험, 상해보험 등)
CEO
워렌 버핏(Warren Buffett)
1970년 취임
본사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
Omaha, Nebraska(NE),USA
직원
30만 2000명 (2013년)
시장 불안이나 주가등락에 동요하지 않고 장기 투자
오마하의 현인으로 불리는 버핏의 투자전략은 항상 모든 시장 참여자의 관심사가 되어왔다. 버핏의 성공적인 실적은 또한 장기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이 버핏의 자산구성(portfolio)을 모방하는 경향이 있다. 탁월한 투자 감각으로 그를 추종하는 투자자들도 높은 수익을 올리는 것은 물론, 버핏이 이끄는 기업 버크셔 해서웨이도 포춘500 미국 2013~14년 2년 연속 4위, 2014년 포브스 선정 글로벌 리딩 기업2000 중 5위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경영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사업부문의 특징, 매출과 영업이익, 경쟁력 등을 분석했다.
첫째, 버크셔 해서웨이의 주력 사업 운영은 크게 계열사, 투자회사 지분 소유 두 부분으로 나뉜다. 버크셔 해서웨이가 거느리고 있는 계열사로는 보험사 내셔널 인뎀니티(National Indemnity Company), 가이코(GEICO Corp.), 재보험 회사인 제너럴 콜론 리(General Cologne Re) 등 여러 종류의 보험사업이 주력이다. 그 밖에 보석회사 헬츠버그 다이아몬즈(Helzberg Diamonds), 캔디/초콜릿회사 씨즈 캔디(See's Candies, Inc.), 비행사 훈련회사 플라이트 세이프티 인터내셔널(Flight Safety International, Inc.), 구두회사 H.H.브라운 로웰 앤 덱스터(H.H. Brown, Lowell and Dexter) 등도 자회사로 편입되어 있다.
또한 버크셔 해서웨이는 다양한 우량 기업들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여행, 금융 서비스 회사 ‘아메리칸 익스프레스’(14.2%), 글로벌 식‧음료기업 ‘코카콜라’(9.1%), 미국 4위 은행 ‘웰스파고’(9.2%), 신용평가회사 ‘무디스’(11.5%) 등에도 상당한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지난 5월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45개 투자종목 중 1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가 6개사이며, 웰스파고와 코카콜라는 지분은 10% 미만이나 투자액은 각각 4억 달러(약 4090억원)가 넘는다. 한국과 관련해서는 세계적인 금속 그룹인 IMC 그룹의 계열사인 ‘대구텍(TaeguTec)’을 2007년 40억 달러(지분 80%)에 인수한 데 이어 최근 2013년 5월 나머지 지분을 인수하면서 버크셔의 완전한 자회사로 만들었다. 그 밖에도 포스코의 지분 5%를 소유해 버크셔는 2대 주주가 되었다.
둘째, 최근 3년간 버크셔 해서웨이의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은 모두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역시 버핏의 명성이 견고함을 증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