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슈 24] 중국 시진핑 직접지시 ‘위구르탄압’ 내부문건 유출…국제사회 비난여론 빗발

공유
3

[글로벌-이슈 24] 중국 시진핑 직접지시 ‘위구르탄압’ 내부문건 유출…국제사회 비난여론 빗발

사진은 시진핑 주석의 강압통치에 의해 감옥과 다름없는 수용시설에서 교화란 명분으로 탄압을 받고 있는 신장위구르인 수용자들. 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은 시진핑 주석의 강압통치에 의해 감옥과 다름없는 수용시설에서 교화란 명분으로 탄압을 받고 있는 신장위구르인 수용자들.


“결코 용납하지 말라” “인정사정 볼 필요 없다”라는 이 위험한 말을 한 인물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다. 대상은 홍콩의 학생들도 티베트의 독립운동가도 아닌 무슬림 위구르인이다.(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2014년 봄 신장·위구르 자치구를 방문했을 때에 비공식 석상에서 나온 것.) 그 이후 이 자치구에서는 위험분자의 혐의를 받은 위구르인의 구속과 수용이 잇따랐다.
미국 워싱턴에 거점을 두고 본래 이슬람교도가 다수를 차지했던 신장·위구르 자치구의 독립을 목표로 인권단체 ‘동 투르키스탄 국민각성운동’에 따르면 구글 어스를 사용해 조사를 한 결과 이 자치구 내에 수용시설이나 감옥으로 보이는 시설 500개 가까이를 확인했으며 수감·수용되고 있는 위구르인의 수는 100만 명 이상에 이른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동투르키스탄 국민각성운동’의 발표를 기다렸던 듯 2019년 11월17일자 뉴욕타임스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위구르인들의 탄압을 놓고 400쪽이 넘는 중국정부 내부문건을 입수했다고 보도했다.

그동안 강제수용소의 존재를 부정하던 중국정부는 태도를 바꿔 희망자에 대해 과격사상에 대항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한다고 설명했으나 같은 달 25일 영국 BBC파노라마와 영국 가디언 등 17곳의 보도기관이 참가한 국제 탐사언론인연합(ICIJ)이 새로운 내부문건을 입수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전보’로 명명된 그 공문에는 수용자의 감금이나 교화, 징벌의 내용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었다.

내용을 살펴보면 “위반행동에는 엄중한 규율과 징벌로 대응하라” “회개와 자백을 촉구하라”는 등의 강경책이 대부분이다. 이와 함께 수용소의 숙소와 교실에는 각각 감시카메라가 둘러쳐지고 수용자는 ‘사상변혁, 학습과 훈련, 규율준수’에 대해 점수가 주어진다. 그리고 자신의 행동이나 신조나 말을 바꿨다고 입증하지 못하면 풀려나지 못할 것이라고 유출된 내부 서에 기록되어 있다.

중국정부에 의한 이 같은 소수민족에 대한 탄압은 과거에도 행해진 적이 있다. 다민족국가인 중국에서는 총인구의 91.5%를 차지하는 한족 외에 공인된 소수민족의 수만 55개 인종을 헤아리지만 중국정부의 탄압이 특히 심한 곳은 산시성과 간쑤성, 네이멍구(네이멍구 자치구에 둘러싸인 닝샤후이족 자치구)다. 회족은 당나라와 원나라 시대에 걸쳐 서역에서 이주해 온 이슬람교도의 후예로 아랍계나 이란계도 있지만 외관만으로는 한족과 구별할 수 없는 사람도 많다.

닝샤후이족 자치구에서는 1956년에 시작된 반 우파투쟁과 1966년에 시작된 문화대혁명의 중 철저한 종교탄압이 이어졌고 반 우파투쟁 시작 전 1,895개였던 모스크가 문화대혁명 종결 시점에는 31개까지 급감했다. 남성은 수염을 기르는 것, 여성은 베일로 머리카락을 가리는 것을 금지 당했고 돼지고기를 먹는 것과 양돈을 강요당했다. 이슬람교 전통축제도 반혁명 위법집회로 탄압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등 회족으로부터의 정체성박탈과 한족으로의 동화정책은 멈출 줄 몰랐다.
참고로 이전 시대(1271~1368년)에는 후이족이 관리로 대륙 각지에 부임하기도 했다. 그 때 일족이나 친구지기도 빠짐없이 이주함에 따라 회족의 거주지역은 닝샤에 한정하지 않고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는 전국 거의 모든 성에 ‘회족 자치현’이 산재하는 형태가 되었으며 어디서나 닝샤와 같은 박해가 자행됐다.

현재 중국의 영토는 명 왕조시대(1368~1644년)의 약 2배다. 그 늘어난 부분이 현재의 내몽골자치구, 티베트자치구, 신장위구르자치구에 거의 상당하는 것으로 내몽골에서는 도시화 진행이 제동역할을 하고 있는지 눈에 띄는 움직임은 없지만 티베트자치구와 티베트인이 많이 거주하는 그 주변지역 및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는 독립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급진화 하고 있다.

신장위구르 자치구가 성립한 것은 1955년의 일이지만 당시는 한족의 인구가 압도적으로 적었기 때문에 닝샤후이족 자치구와는 사정이 달랐다. 하지만 한족의 이주가 장려되면서 인구의 과반수를 차지하기에 이른 1990년대 이후 세계적인 이슬람부흥의 움직임과 맞물려 신장위구르 자치구의 정세도 불온한 것으로 여겨지게 됐다.

시위나 폭동, 테러사건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일어난 것이 2001년 9월11일 미국의 동시다발 테러사건으로 중국정부는 이 기회를 틈타 가장 거북한 존재였던 ‘동투르키스탄 이슬람운동’을 미국정부와 유엔에 테러조직으로 인정하는 데 성공하는 등 국제정세를 교묘히 이용함으로써 이 자치구의 억압을 한층 강화했다.

신장위구르 자치구 성립 이전부터 이 땅에 거주했던 것은 위구르인을 비롯한 투르크계 여러 민족으로 이루어진 이슬람교도가 대부분으로, 이곳이 중국의 판도에 편입된 것은 청나라 건륭제가 군림한 1759년 때의 일이다. 하지만 신앙의 자유는 물론 사회나 문화도 현상유지가 허용되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일어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중국 공산당 일당 독재하의 중화인민공화국이 통치하면서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구심력을 공산주의에서 애국심, 중화민족으로 전환시킨 후의 동화정책은 눈에 거슬릴 정도로 심하며 이슬람교도로서 위구르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완전히 버리든지 순종적인 백성이 되든지 하는 양자택일을 강요하고 있어 ‘인종청소’ 비난을 면하기 어렵다.

삐뚤어진 시각일지 모르지만 거기에는 압도적 다수파의 교만함이나 우월감보다는 강고한 다른 문화에 대한 두려움 같은 것이 느껴진다.


김경수 글로벌이코노믹 편집위원 ggs07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