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진 백신 접종 의무화

12일(현지시간) 미국 경제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조치는 기차, 국내선, 극장, 놀이공원, 병원, 요양원에도 적용된다고 보도했다.
프랑스 보건 당국은 이번 주부터 국경을 통제하고, 백신 접종률이 낮은 국가에서 입국한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검역을 강화한다.
WSJ는 강력한 방역 조치로 세계 최고의 관광지 중 하나인 프랑스의 관광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프랑스는 올해 초 강력한 봉쇄조치와 백신 접종 프로그램을 도입해 코로나19 확산세를 누그러뜨렸다. 4월 중순 4만2000여명에 달하던 코로나19 확진자는 6월 하순 2000여명까지 감소했다.
그러나 최근 일주일사이 하루 평균 환자 수가 다시 증가하며 11일에는 4000여명에 육박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TV 연설을 통해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8월에 입원 건수가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최근 몇 주 동안의 백신 접종률이 둔화되자 보건 전문가들은 델타 변이를 중심으로 이번 여름 재확산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프랑스 보건부에 따르면 프랑스 전체 인구의 53% 이상이 적어도 한 번의 백신을 맞았고 국민의 약 41%가 백신을 완전히 마쳤다.
마크롱 대통령은 병원과 요양원 내 보건요원 등 의료진에게 백신이 의무화된다고 밝혔다. 보건 당국에 따르면 프랑스 의료 종사자의 백신 접종률은 절반을 넘지 못하고 있다.
올해 가을부터는 백신 접종은 무료이지만, 의료 처방을 받지 않는 한 코로나19 검사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마크롱 대통령은 "백신은 언젠가는 모든 국민에게 의무화될 것"이라며 "과학이 우리를 보호할 수단을 제공할 때, 우리는 그것들을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명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hyo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