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英,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글로벌 경제에 미칠 파장은

공유
0

[초점] 美·英,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글로벌 경제에 미칠 파장은

인플레이션 쇼크·경제 성장 둔화·금리 인상 속도 조절 등 불가피

미국과 영국이 8일(현지시간)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중단하기로 함에따라 국제 유가 및 휘발윳값이 급등하고 있다. 사진=AP이미지 확대보기
미국과 영국이 8일(현지시간)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중단하기로 함에따라 국제 유가 및 휘발윳값이 급등하고 있다. 사진=AP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밝힌 러시아산 원유와 천연가스 수입 중단 결정은 글로벌 경제에 심대한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세계 1위 에너지 수출국이었던 러시아에 대한 미국의 독자 제재로 국제 유가 폭등 및 세계 각국의 물가 상승이 불가피해졌다고 로이터가 지적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러시아의 원유 수출 규모는 하루에 700~800만 배럴에 달한다. 러시아가 수출하는 원유 수입 비중은 유럽연합(EU) 60%, 중국 20%, 미국 8%, 영국 2% 등이다.
미국에 이어 영국도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단계적으로 중단한다. 세계 각국 정부의 공식 입장과는 별개로 글로벌 정유회사도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독자적으로 중단했다. 영국계 정유회사 셸은 러시아산 원유를 헐값에 싹쓸이했다가 세계 각국으로부터 거센 비판에 직면하자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완전히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

미국과 영국의 러시아산 원유 및 천연가스 수입 중단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후유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글로벌 경제는 또 한 번 심대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 쇼크

러시아산 원유 수출이 중단되면 국제 유가가 급등할 가능성이 크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러시아의 원유 수출이 금지되면 국제 유가는 배럴당 200달러를 넘을 것이라고 밝혔다. JP모건 체이스는 국제 유가가 올해 배럴당 185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분석했고, 미쓰비시 UFJ 금융 그룹은 180달러까지 뛸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제 유가가 이 수준에 이르면 글로벌 경제가 침체기를 맞을 것이라고 로이터가 보도했다. 미국에서 휘발윳값은 2008년 이후 최고치인 갤런당 평균 4달러를 넘었다.

국제 유가 상승은 인플레이션 고공 행진으로 이어질 게 확실하다. 특히 러시아산 원유와 천연가스 의존도가 높은 유럽 국가들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러시아산 원유 금수 조처로 미국과 유럽 국가의 인플레이션이 향후 몇 개월 동안 7%를 넘을 것이라고 로이터가 전했다. 유로존에서 유가가 10% 오를 때마다 물가가 0.1~0.2% 포인트가 오른다. 국제 유가의 기준이 되는 브렌트유는 유로존에서 올해 들어 80%가 올랐다.

미국에서는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달러가 오를 때마다 물가가 0.2% 포인트 오른다.
곡물과 원자재 가격도 폭등할 가능성이 크다. 러시아는 세계 1위의 곡물 수출국이고, 팔라듐, 니켈, 철강, 석탄 수출 세계 1위이다. 러시아가 글로벌 경제 체제에서 배제되면 심각한 공급난이 올 수 있다.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

유럽중앙은행(ECB)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유로존의 경제 성장률이 올해 최소 0.3~0.4%, 최대 1%까지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향후 몇 개월 동안 유로존은 경기 침체기 또는 정체기를 맞았다가 그 이후에 다시 성장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전망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는 국제 유가가 배럴 당 10달러가 오를 때마다 미국이 경제 성장률이 0.1% 포인트가량 내려갈 것이라고 밝혔다.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각국 중앙은행은 ‘신 석유 파동’에 따른 고물가 사태를 진정시키려고 통화 정책 수단을 동원할 것으로 보인다. 미 연준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관계없이 오는 15, 16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0.25% 올릴 것이라고 예고했다.

유럽중앙은행은 당장 금리를 올리지 않고, 사태 추이를 관망할 계획이다. 아직 유럽 지역의 고용 시장이 탄탄하다는 게 유럽중앙은행의 판단이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