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인플레이션 잡기 위해 0.5%p 금리 인상 불가피

손 교수는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 대유행이 퇴조하고, 경제 활동이 재개됨에 따라 인력난이 다소 완화됐다”면서 “미국의 노동 인구가 올해 3월에 1년 전에 비해 360만 명이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손 교수는 “미국인들이 미국 정부로부터 받은 지원금이 떨어져 감에 따라 다시 직장으로 복귀하려 한다”면서 “미국의 경제활동참가율(LFPR)이 올해 3월에 62.6%로 1년 전 당시의 61.5%보다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그렇지만 이는 여전히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되기 이전보다는 낮은 수치라고 그가 지적했다.
노동 인구가 줄어든 이유가 0.6% 포인트 가량은 근로자 고령화에 따른 것이고, 이것은 변할 수 없으나 가사 돌보기, 코로나19 감염 공포, 조기 은퇴 등이 그 나머지 노동력 감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손 교수가 강조했다. 그는 바로 이런 이유도 낙관론이 언제든 뒤바뀔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손 교수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이전에도 미국의 실질 임금이 감소하고 있었다”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고, 휘발윳값을 비롯한 상품 가격이 반세기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오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시간당 임금이 1년 전에 비해 5.6%가 올랐으나 그사이에 인플레이션은 7.9%에 달했다”면서 “고용주가 인력난을 고려해 봉급 인상을 하고 있어 임금과 상품 가격이 번갈아 가며 오르는 사이클이 이미 시작됐다”고 말했다.
손 교수는 “연준이 3월 고용 보고서를 본 뒤에 올해 여러 차례 금리를 올릴 것이고, 특히 향후 회의에서 인상 폭을 0.5% 포인트로 올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 노동부는 1일 공개한 3월 고용보고서를 통해 지난달 비농업 일자리가 43만 1,000개 증가했다고 밝혔다. 실업률은 전월 3.8%에서 3.6%로 떨어져 코로나19 대유행 직전에 기록한 50년 만의 최저치(3.5%)에 근접했다.
미국의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보다 0.4%, 전년 동월보다 5.6% 각각 올랐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 폭은 1980년대 초반 이후 거의 40년 만에 최대 규모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