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0.25% 포인트 인상 뒤 열린 기자회견에서 밝혀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 모두발언에서 “우리가 계속 은행 시스템 여건을 긴밀히 지켜볼 것이고, 안전과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수단을 쓸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탄탄한 자본과 유동성을 보유한 우리의 은행 시스템은 건전하고 강력하다”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최근 금융 혼란에 대해 “이것이 아마도 가계와 기업의 신용 조건을 경색시키고, 경제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나 이에 따라 통화정책을 통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말하기 이르다”고 설명했다.
파월 의장은 최근 연준이 지역 은행이나 중소 규모 은행이 뱅크런 사태를 예방하려고 유동성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 이례적인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그는 “역사적으로 개별 은행의 문제에 대처하지 않으면 건전한 은행들의 신뢰까지 약화하고 은행 시스템 전체 역량을 위협하는 사례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해당 은행들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독립적 조사가 있을 것으로 100%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민간 은행들은 연준의 대출 기구인 할인창구(discount window)와 지난 12일 신설된 ‘은행기간대출프로그램’ (BTFP, Bank Term Funding Program)을 통해 긴급 자금 지원을 받고 있다. 연준은 SVB와 시그니처 은행 파산 후 BTFP를 새롭게 개설해 금융 기관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BTFP는 은행과 저축은행, 신용조합, 기타 적격 예금기관에 최장 1년간 대출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연준은 또 캐나다, 영국, 일본, 스위스 중앙은행, 유럽중앙은행(ECB)과 달러 스왑을 대폭 확대해 유동성을 지원하기로 긴급 합의했다.
파월 의장은 금융 시장 안정과 함께 인플레이션 통제를 향후 통화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둘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물가 안정 복원에 전념하고 있고, 우리의 행동과 말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월가에서는 최근 금융 혼란 사태를 이유로 연준이 올해 하반기에 금리를 다시 내리는 ‘피벗’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그러나 파월 의장은 그 가능성을 부인했다. 그는 “참석자들이 올해 중 금리 인하를 전망하지 않았다는 것이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금리를 더 올릴 필요가 있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