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의존 줄이는 '프렌드쇼어링' 전략 강화 계획 밝혀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은 원자재와 부품, 노동력 아웃소싱과 디자인·설계 등 기술 공조를 우방 협력의 틀로 제한하고, 비우호국 경제와 배타적 관계를 설정하는 전략을 말한다. 미국은 중국을 견제하려고 프렌드쇼어링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타이 대표는 “무역은 공동선을 위해 작동해야 하고, 노동, 환경 및 미국의 가치를 반영하는 기타 우선순위에 책임 있는 기준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타이 대표가 미국의 공급망 강화를 위해 새로운 협약을 추진 중이라고 미국 언론이 전했다.
타이 대표는 특히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과거의 관세 협정이 오늘날 효력을 잃었다며 조 바이든 정부의 비관세 장벽에 중점을 둔 접근 방식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통상의 새 역사를 쓰고 있고, 이것은 우리 경제를 더 유연하고 지속 가능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더 공정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같은 생각을 공유한 국가와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바이든 행정부 통상 정책의 핵심 주제”라고 강조했다.
타이 대표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 지원 및 과학 법’ (칩스 법) 제정 배경에 대해 “우리가 오랫동안 시장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 것이라 믿었고, 공정한 경쟁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더 많은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 생각했으나 우리가 이제 자신에게 투자하는 새롭고 더 적극적이며 대담한 조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워싱턴 무역관은 한국이 대미 수출을 늘리려면 바이든 대통령 정부가 추진하는 ‘프렌드쇼어링’ 정책에 맞춰 미국 시장에 첨단 제품을 직접 공급하는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