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사우디 왕세자 만난 美 고위급 인사들, 양국 관계 회복 위해 어떤 논의했나

공유
0

사우디 왕세자 만난 美 고위급 인사들, 양국 관계 회복 위해 어떤 논의했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이 사우디 빈 살만 왕세자와 만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이 사우디 빈 살만 왕세자와 만나고 있다. 사진=로이터
최근 바이든 대통령의 브렛 맥거크 중동 고위 고문과 아모스 호슈타인 미국 글로벌 인프라 및 에너지 안보 특사가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를 포함한 사우디 고위 관리들과 만나 회담을 가졌다. 미국의 예멘 특사 팀 렌더킹(Tim Lenderking)도 사우디를 방문했다.

백악관은 지난 13일(현지 시간) 이들이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했다고 확인했다.
백악관 안보보좌관 설리반은 지난 11일 빈살만과 전화 통화를 하고 “사우디와 미국 안보팀 간의 접촉을 가속화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최고위층 사이의 협의 속에서 방문이 진행 중인 것이다. 미국이 이를 사전에 밝힌 것은 국제 사회에 관계 개선을 알리려는 메시지다.

현지 언론들은 이번 방문의 이유에 대해 방문 인사의 위상이 지난 10월에 사우디 주도의 석유 생산 중단 결정 이후 양국 간에 긴장이 고조된 후 사우디를 방문하는 가장 고위 미국 관리라는 점에 주목한다.

이를 두고 워싱턴과 리야드 간의 관계가 개선될 가능성에 주목한다.

브렛 맥거크 중동 고위 고문과 아모스 호슈타인 글로벌 인프라 및 에너지 안보 특사는 목요일에 도착하여 파이살 빈 파르한 알 사우드 외무장관을 만나 양국 국가의 이익을 위한 방법을 논의했다고 사우디 외무부가 밝혔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도 이들과 예멘 특사 팀이 빈살만과 만나 예멘 전쟁을 종식하는 노력에 대해 논의했다고 말했다.

사우디와 예멘은 현재까지도 전쟁 중이다. 예멘 내전에 사우디가 아랍 연합군대를 결성해 개입한 이래 갈등이 계속되었다.
미국 파견단은 또한 칼리드 빈 살만 국방장관을 포함한 다른 사우디 고위 관리들도 만났다.

미국 관리들은 “바이든 대통령이 사우디의 최우선 관심사인 예멘 분쟁을 종식하는 데 오랫동안 중요성을 부여해 왔다”고 강조했으며, “양측은 1년 전 유엔 중재 휴전으로 이어진 긴밀한 협력을 환영했고, 이는 이후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NSC 대변인은 “더 오래 존속할 평화를 위한 조건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견단은 또한 예멘 또는 다른 곳의 위협에 대한 사우디의 방어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강조하고 외교, 억제, 새로운 투자 및 인프라 계획의 조합을 통해 광범위한 지역 통합 및 안정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좀 더 구체적으로 미국은 사우디의 관심사인 탈탄소 시대의 미래 전략에 고심인 사우디를 고려해 에너지 안보, 청정에너지 협력, PGII(Global Infrastructure and Investment)에 대한 투자, 5G와 6G를 지원하기 위한 ORAN(Open Radio Access Network) 협력 프로젝트와 같은 문제를 사우디 측과 논의했다. 다시 말해 미국과 사우디의 예전 관계를 복원하자는 의미이다.

한편, 이달 초 사우디와 다른 주요 산유국들은 5월부터 하루 100만 배럴 이상 석유를 추가 감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감산은 연말까지로 되어 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사우디가 사전에 바이든 행정부에 통보했으며 미국은 “동의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과 사우디 사이의 관계 개선 조짐은 그동안 몇 가지 있었다. 미국은 사우디가 키예프를 방문하여 바이든이 추진한 우크라이나 원조 패키지를 발표한 것을 지지했다.

개선의 다른 징후로는 국가 간의 5G 기술에 대한 합의와 최근 발표된 수십억 달러의 보잉 거래다.

바이든도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의 수교 재개 합의를 환영하며 미국의 지역 긴장완화 정책과 예멘 전쟁 종식 노력과 일치하는 움직임이라고 말했다.

이제 이런 접촉이 사우디의 중국 밀착을 어느 정도 견제하고 인플레이션을 완화하려는 미국의 노력에 사우디가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지가 관심사로 부상 중이다. 사우디의 위안화 결제 시스템 합류 여부도 쟁점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