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매파 기조 재확인에도 시장 충격 없어…추가 금리 인상 경고도

파월 의장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연준 연례 경제정책회의(잭슨홀 회의)에서 "필요한 경우 금리를 인상할 준비가 됐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로이터 등 외신은 이러한 시장 반응을 전했다. 선물시장에서 11월 기준금리 인상 전망이 과반으로 올라간 가운데 9월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시장의 관심은 향후 발표될 경제지표로 옮겨가고 있다.
아넥스 자산관리의 브라이언 제이콥센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파월 의장의 연설에 대해 "많은 말들이 있었지만 (메시지는) 적었다"면서 "지난해 짧지만 인정사정 없었던 연설 대신 더 길지만 침착한 방식을 택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핵심 단어는 '신중히'(carefully)였다. 연준은 강력하게 대신 신중히 나아갈 것"이라고 봤다.
코페이의 칼 샤모타 수석 시장전략가도 "전체적으로 시장 우려보다 덜 매파적이었다"면서 파월 의장이 '더 높은 금리를 더 오래 유지하겠다'는 지난해 기조를 재사용했지만 '신중히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는 연준이 단기적으로 데이터에 따를 것임을 명확히 한 메시지라는 것이다.
나틱시스의 크리스토퍼 호지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추가 긴축 필요성을 강조한 것은 바뀌었지만, 향후 지표가 누그러질 경우 연준이 현 금리 수준을 편하게 생각할 것이라는 점은 바뀌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연준이 어떻게 행동할지를 두고 적절히 나뉘어 있다고 본다"면서 "다음 주부터 발표될 고용·물가 지표가 훨씬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연준이 '더 높은 금리를 더 오래' 기조를 재확인한 것과 관련해 내년 경기 둔화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파월 의장이 지난해 초 매파적 기조보다는 더 균형 잡힌 발언을 했지만 내년 금리 인하에 대한 신호를 주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로이터는 금리가 더 높아지면 성장에 부담이 되고 내년 침체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면서 이 경우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다. 월스트리트저널도 이날 연설 내용이 연준에 대한 신뢰 제고에는 긍정적이겠지만 미국 경제에는 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가운데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연준이 최소한 한 차례 더 기준금리를 올릴 필요가 있을 것”이라며 “시장이 미국 재정적자에 따른 여파를 더 주시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기준금리가 향후 몇 달간 한차례 혹은 그 이상 인상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시장에서는 다음 달 기준금리 상단이 5.5%로 동결될 가능성이 80%로 여전히 지배적이다. 하지만 파월 의장의 발표를 전후해 하루 사이 11월 금리 동결 전망은 50.6%에서 44.5%로 내려온 반면, 금리 상단이 5.75%(46.7%)나 6.0%(8.9%)에 이를 것으로 보는 전망이 과반으로 올라섰다.
김성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jkim9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