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상무장관, 중국 방문…반도체 극한 대립 완화 시도

글로벌이코노믹

美 상무장관, 중국 방문…반도체 극한 대립 완화 시도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이 중국을 방문 민감한 양국 무역 현안에 대한 협의를 가졌다. 사진=본사 자료이미지 확대보기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이 중국을 방문 민감한 양국 무역 현안에 대한 협의를 가졌다. 사진=본사 자료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이 27일 베이징을 방문했다. 그녀는 왕 웬타오 중국 상무부 장관 등을 만나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 분야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러몬도 장관의 방중 목적은 이 분야에 대한 극한 대립을 피하고 양국 간에 대화의 통로를 확보하는 것이라고 중국 언론들이 보도했다.

러몬도 장관은 30일까지의 일정 도중 상하이를 방문할 예정이다. 그녀는 왕 웬타오 장관 외에도 경제를 담당하는 고위 정부 관리들과 협의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

그녀는 반도체 규제를 포함한 중국에 대한 경제 정책을 담당하고 있다.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지난 22일 "치열한 경쟁이 갈등으로 번지지 않도록 적극적인 외교가 필요하다"며 그녀의 방중 목표를 설명했다.
반도체를 둘러싼 미·중 대립은 갈수록 첨예해지고 있다. 2022년 10월 미국 정부는 첨단 반도체 기술 및 제조 장비의 중국 수출을 금지했다. 중국 정부는 2023년 미국의 주요 반도체 회사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제품 조달을 제한하고 반도체 재료 수출을 강화했다.

갈등의 영역은 AI와 양자 기술로 확장되고 있다. 8월 초, 미국 정부는 반도체, AI, 퀀텀을 대상으로 한 중국 투자 제한을 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중국은 주저하지 않고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반도체와 AI는 첨단 군수품 개발 경쟁과 직결된다. 미국과 중국 모두 쉽게 양보하기 어렵고, 이번 회담에서 치열한 논의가 예상된다.

러몬도 장관은 안보와 관련 없는 일반 제품 무역에서의 미·중 경제 관계 중요성을 강조했다. 미국과 중국은 협력할 수 있는 분야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회의는 중국의 심각한 경기 침체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시기에 이뤄졌다. 미국 측은 중국의 청년실업률 취소 등 경제지표 공개를 둘러싼 투명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을 문제 삼고 있다. 또한 중국 측에 개선을 요청하고 최신 상황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성일만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exan509@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