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의 개인용 컴퓨터 수입에 대한 새로운 규제가 미국을 자극하고 있다.
인도 당국은 11월부터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및 이와 유사한 기기의 공급자들이 인도로 수출하기 위해선 반드시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명시했다.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캐서린 타이는 최근 인도의 피유시 고얄 상무장관과의 회담에서 이 규제에 대한 미국 측의 우려를 전달했다.
지난 주말 가진 회의에서 타이 장관은 인도의 이 정책이 미국의 대인도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검토해 주기를 요청했다. 타이 장관은 지난 주 G20 무역 및 투자 장관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인도를 방문했다.
인도는 8월 3일 처음 허가 요건에 대한 통지를 발표했고, 그 다음 날 10월 말까지 지속되는 이행 기간을 통보했다. 인도 정부는 그 구제들을 즉시 시행하기를 원했지만, 제조업자들에게 시간을 주기로 했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지난 4~6월 인도에서 인도에 납품된 PC 중 미국에 본사를 둔 HP가 31.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레노버 그룹은 16.2%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했고, 미국의 델 테크놀로지스는 15.3%로 3위를 차지했다. 애플은 올해 4월 인도에 첫 직영점을 열었다.
인도는 정보 기술 서비스 강국으로 알려져 있지만, 제조업 부문은 덜 발달되어 있어 대부분의 전자 기기를 수입한다.
IDC에 따르면 인도는 노트북 컴퓨터의 약 25%만을 자국 내에서 조립한다. 자동차와 달리 PC 부문은 수입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허가 요건이 연말 쇼핑 시즌에 타격을 줄 수 있다.
허가 요건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에 대해선 아직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미 무역 대표부에 따르면, 타이와 고얄 장관은 그 문제를 더 살펴보고 양국의 우려를 해결할 해결책을 찾는데 동의했다.
인도는 미국과 중국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의 대체 생산기지로서 관심을 받고 있다. 뉴델리는 이러한 추세를 장려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지난 7월 말 세미콘 인도 컨벤션에서 "누가 세계 최대 민주주의 국가보다 더 신뢰받는 파트너가 될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성일만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exan509@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