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서 천연가스 태워 비트코인 채굴…“수익률 6배 넘어”

글로벌이코노믹

美서 천연가스 태워 비트코인 채굴…“수익률 6배 넘어”

비트코인 이미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비트코인 이미지. 사진=로이터

고공 행진을 거듭하던 국제 천연가스 가격이 지난해의 절반 수준으로 하락하자 천연가스로 발전해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사업 모델이 등장했다.

30일(현지시간) 미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텍사스주의 한 천연가스 개인 생산자가 천연가스로 발전한 전기로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사업 모델을 개발했다고 소개했다.

WSJ에 따르면 크리스 알파노(29)란 이름의 이 생산자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텍사스 포트워스 교외의 천연가스정을 구매해 이러한 방식으로 비트코인을 채굴해 왔다고 밝혔다.

알파노는 “천연가스 28.31㎥를 그대로 시장에 공급하면 1.5달러(약 2000원) 이하를 받지만, 같은 양의 천연가스를 태워 전기를 생산해 비트코인을 채굴하면 10달러(약 1만 3473원) 이상을 벌 수 있다”라고 주장하며 교육생들에게 홍보하고 있다.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이 큰 데다, 천연가스로 발전해 채굴 동력원으로 쓰려면 최소 100만 달러(약 13억 5000만원)의 설비 투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지난해 겨울 온난한 기온이 이어지면서 천연가스 수요가 감소하고, 거래가격이 하락하면서 이러한 채굴 모델이 주목받고 있다.

WSJ은 천연가스 생산업자들이 비트코인 채굴까지 고려하게 된 것은 이들이 그만큼 절박한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천연가스 가격이 오르면 기존 가스 판매 사업을 계속하지만, 천연가스 가격이 내려가고 비트코인 시세가 오르면 반대로 천연가스로 발전해 비트코인을 채굴하고 있다.

알파노는 비트코인 가격이 6만 달러(약 8000만원) 전후였던 지난 2021년 10월에 600만 달러(약 80억원)를 들여 컴퓨터 수백 대와 발전기 7대를 구입하고, 지난해 2월부터 채굴을 시작했다.

그는 같은 해 6월 비트코인 가격이 2만 달러(약 2700만원) 밑으로 떨어지자 채굴을 중단하고, 다시 천연가스 판매를 시작했다. 당시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천연가스 수요와 가격이 급등하며 가스 판매 사업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후 천연가스 가격이 다시 하락하고, 비트코인 가격이 반등하면서 올해 3월부터 비트코인 채굴을 재개했다.

WSJ은 대다수 오래된 천연가스 생산업자들이 알파노의 새로운 사업 모델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완전히 무시하지는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알파노의 교육생 중 1980대부터 천연가스를 생산해 온 한 80대 업자는 비트코인의 가치에 대해 의문을 표하면서도 일부 천연가스정을 채굴에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WSJ은 덧붙였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