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내년 OPEC+ 감산에 맞서 '기록적 증산'…국제 유가 하락 유도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내년 OPEC+ 감산에 맞서 '기록적 증산'…국제 유가 하락 유도

미국이 내년도에 기록적인 원유 증산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감산에 맞설 계획이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이 내년도에 기록적인 원유 증산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감산에 맞설 계획이다. 사진=로이터
미국이 내년도에 원유 증산을 통해 원유 감산을 주도하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정면 대결을 할 것으로 보인다. 미 경제 전문지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9일(현지시간) 미국이 올해 원유를 하루에 평균 1300만 배럴을 생산해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고, 내년에는 이 규모를 더욱 늘려 하루 1330만 배럴을 생산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OPEC 산유국 연합체인 OPEC 플러스를 실질적으로 이끄는 사우디아라비아가 미국의 압력에 굴하지 않은채 국제 유가 안정을 위한 지속적인 감산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이 이에 따라 OPEC 플러스 대신에 원유 증산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1, 2위 거대 석유 기업인 엑손모빌과 셰브런은 내년도에 원유 증산을 위한 투자 확대 방침을 밝혔다.

엑손모빌이 4년간 대규모 투자를 통해 석유·가스 생산을 확대하고, 저탄소 에너지 부문도 강화하기로 했다. 엑손은 3년에 걸친 투자 위축에서 벗어나 내년부터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엑손은 내년에 자본·탐사 비용지출을 230억~250억 달러로 늘리고, 2025~2027년에는 이를 220억~270억 달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엑손은 2027년까지는 석유, 가스 생산이 지금보다 약 10% 늘어나 하루 420만 배럴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엑손은 핵심 유전 지대인 미 서남부 퍼미안 분지와 남미 동북부 가이아나 투자를 대폭 늘린다. 엑손모빌은 이를 위해 내년에 200억 달러(약 26조 원) 규모의 주식을 재매입할 예정이다.
셰브런도 10월 말 헤스(Hess Corp.)를 530억 달러(약 70조 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한 후 자사주 매입을 늘리기로 했다. 이번 인수로 셰브런은 2015년 이후 세계 주요 석유 매장지로 떠오른 남미 가이아나 유전 사업권을 획득하고, 선두 주자인 엑손모빌과 가이아나 유전에서 경쟁한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해 전 세계 석유 생산의 21%를 차지해 사우디(13%)와 러시아(10%)를 합한 것과 비슷한 양을 생산했다. 지난달 30일 EIA에 따르면 미국의 9월 석유 생산량은 하루평균 1324만 배럴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셰일 석유가 생산되는 노스다코타주의 생산량이 크게 늘었다.

그러나 사우디는 유가 부양을 위해 러시아 등 다른 산유국과 손잡고 내년에도 지속해서 감산을 추진하고 있다. OPEC 플러스는 지난달 30일 원유 생산량을 하루 100만 배럴 규모로 추가 감산하기로 했다. 산유국들의 합의는 ‘자발적’(voluntary)인 성격을 띠고 있다. OPEC 플러스 장관급 회의에서는 100만 배럴 추가 감산을 종용한 사우디아라비아와 감산에 반대하는 앙골라 등이 맞서는 바람에 회원국들이 자발적으로 감산하기로 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지난 7월부터 시행한 하루 100만 배럴의 자발적 감산을 연장하기로 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유가가 9월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하자 회원국들을 상대로 추가 감산을 압박했다.

OPEC 플러스는 지난해 10월 하루 200만 배럴(bpd) 감산에 합의했고, 지난 4월에는 일부 회원국이 자발적인 추가 감산 계획을 발표했다. 사우디는 6월 장관회의에서 100만bpd 추가 감산 방침을 발표한 뒤 7월부터 실제 생산량을 감축했다. 현재 사우디의 원유 생산량은 900만 bpd 수준이다.

러시아는 지난 3월부터 50만 bpd의 자발적 감산을 발표했고, 8월부터 추가로 원유 수출을 50만 bpd 줄였다가 9월에는 이를 30만 bpd로 조정했다.

미국은 OPEC 플러스의 원유 추가 감산 검토에 반발하고 있다. 미국은 OPEC 13개 회원국과 러시아 등 나머지 10개 산유국이 지난해에 하루 200만 배럴가량 감산 결정을 함으로써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지원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비난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