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日부동산 회사들의 美진출 야심, 정작 현지 시장은 위기?

글로벌이코노믹

日부동산 회사들의 美진출 야심, 정작 현지 시장은 위기?

미국 신규 주택 건설 현장.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신규 주택 건설 현장. 사진=로이터

일본 주택 회사들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미국 부동산을 점찍은 가운데, 그러나 정작 현지 사정이 녹록지 않아 손해만 보고 시장에서 철수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고단샤의 온라인 매거진 쿠리에재팬은 18일 일본 주택업체들이 수요가 바닥을 친 국내 시장을 포기하고 미국 진출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일본 대형 주택업체 세키스이하우스는 미 콜로라도주 단독주택 사업체 MDC 홀딩스를 49억5000만 달러에 인수했다. 또 다른 부동산 회사인 다이와하우스와 스미토모임업도 현지 건설업체 인수를 적극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세키스이, 다이와, 스미토모임업 3사는 미국 내 부동산 업계 기업 순위에서 상위권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M&A 뱅커들은 쿠리에재팬고의 인터뷰에서 “이들의 사업 확장을 위한 인수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일본 주택업체들이 미국 시장점유율을 눈독 들이는 이유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내수 발전이 어렵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일본 총무성이 주민기본대장을 토대로 발표한 2023년 1월 1일 기준 일본 인구 동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인구는 전년 대비 80만1000명 감소했다. 사망자 수는 156만5000명으로, 조사가 시작된 1979년 이후 가장 많았고, 출생아 수도 77만2000명으로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1968년 조사 개시 이후 최대 감소폭이며, 처음으로 47개 도도부현 모두에서 감소세를 나타낸 결과다.

또 총무성은 인구 감소로 인해 2018년 기준 850만 채였던 빈집이 향후 20년간 2000만 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수가 이런 상황이다 보니 미래 부동산 먹거리를 미국으로 보고 서둘러 진출한다는 분석이다.

미 의회예산국(CBO)에 따르면 미국의 인구 증가율은 2023년 기준 0.5%로 저조한 편이지만, 여전히 플러스 성장세이며 주택 재고율은 낮은 상황으로 나타났다. 미 주택시장 전문 컨설턴트 존 반즈는 “2008년 리먼 사태 이후 미국에서는 주택 부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현재 170만 가구가 주택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문제는 미국 현지 부동산 시장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18일(현지시간) 뱅크오브아메리카의 펀드매니저 대상 최신 설문조사를 인용, 조사 대상자 중 약 절반이 부동산 신용 관련 리스크를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금리 인하를 단행해 부동산 대출에 대한 압력을 완화할 것이라는 기대가 꺾인 것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미국 금리 인하 폭을 90bp(1bp=0.01%) 미만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부동산 관련 9000억 달러 이상의 부채가 올해 안에 리파이낸싱(차환용 채권 발행)이나 매각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막대한 손실과 수요 저하가 예상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해석된다.

브루스 리차즈 마라톤 자산관리 회장은 링크트인을 통해 중소형 은행들의 상업용 부동산 대출 디폴트 비율이 8~10%대로 향하는 추세라고 경고했다.

또 연준 조사에 따르면, 미국 지방은행 대출 잔액에서 상업용 부동산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은 현재 40%로 대형 은행보다 3배나 높은 수준이다. 여기에 더해 지난해 12월 발표된 미국 은행의 취약성 조사 보고서에서는 상업용 부동산 대출의 부도율이 10%에 이르면 은행은 약 800억 달러의 추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는 “상업용 부동산의 어려움으로 인해 주로 중소형 지방은행 300여 개가 지급불능에 빠질 수 있다”고 전했다.

만약 임대료 수입 급감으로 대출 상환이 지연되어 지방은행의 경영 능력이 저하되면 미국 부동산 시장 전체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일본 부동산 회사들의 미국 현지 투자가 무위로 돌아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다.

오마르 엘트라이 알타스 그룹 리서치 디렉터는 "(미국 부동산 시장에 대해) 앞으로도 경고 압박 신호는 계속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