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에 따르면 뷰익의 주력 모델인 ‘엔비스타(Envista)’와 ‘앙코르 GX(Encore GX)’, ‘엔비전(Envision)’ 등 3종은 각각 한국과 중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차량에 고율의 수입 관세가 부과되면서 미국 내 판매가가 수천달러씩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바클레이스는 한국산 차량에는 27.5%, 중국산 엔비전에는 기존 2.5%의 자동차 수입세에 더해 자동차 관세 25%, 중국산 펜타닐 관련 보복관세 20%까지 적용돼 총 47.5%에 이르는 관세가 매겨진다고 분석했다.
GM은 이에 따라 한국과 중국에서 들여오는 약 45만대 규모의 수입을 중단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클레이스는 관세 부담과 판매 감소를 반영해 GM의 2025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약 95억 달러(약 13조5000억원) 감액했으며 포드는 70억 달러(약 10조원) 손실이 예상돼 60% 하향 조정됐다.
2023년 뷰익의 연간 판매는 전년 대비 61% 증가했고 2024년에도 10% 가까이 성장했다. 미국 자동차 전문 시장조사업체 에드먼즈닷컴에 따르면 미국 내 뷰익의 시장 점유율은 2022년 0.8%에서 2024년 1.1%, 2025년 1분기에는 1.6%까지 상승했다.
자동차 시장 분석업체 오토포캐스트솔루션스의 샘 피오라니 부사장은 “새로운 뷰익 차량은 가격도 적당하고 품질도 좋다”면서 “그런데 비용 경쟁력을 잃게 되면 브랜드의 존속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에드먼즈의 이반 드루리 인사이트 디렉터도 “지금 뷰익은 수십 년 만에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며 “이 흐름이 멈추거나 꺾이면 브랜드 회복의 꿈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뷰익은 중국에서도 부진을 겪고 있다. 자동차 산업 자문업체 텔레메트리에 따르면 뷰익의 중국 내 판매량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65% 급감했다. 현지 전기차 업체들의 약진으로 외국 브랜드들이 설 자리를 잃고 있는 상황이다. 텔레메트리의 샘 아불사미드 부사장은 “중국 시장 부진에 더해 미국 내 고율 관세까지 겹치며 브랜드 존속 자체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