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 정책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시각이 다수를 차지하면서 백악관의 경제 구상이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CNN은 여론조사기관 SSRS와 공동으로 지난 17~24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성인 1678명을 여론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59%가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미국의 경제 상황을 악화시켰다고 답했다고 30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달의 51%보다 상승한 수치로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임기 중 최악의 평가와 비슷한 수준이다.
경제 전반에 대한 불만도 여전하다. 응답자의 69%는 향후 1년 이내에 경기 침체가 올 가능성이 ‘있다’고 봤으며 이 중 32%는 ‘매우 가능성 있다’고 응답했다. 현재 경제에 대해 낙관적이라고 답한 이는 34%에 불과했고 비관적이거나 두려움을 느낀다는 응답자는 각각 29%, 37%였다. 특히 45세 미만 응답자와 유색인종 응답자의 70% 이상이 비관이나 공포를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물가를 낮추겠다는 공약으로 경제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었으나 실제로는 국민 체감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0%는 트럼프의 정책이 지역사회 물가를 상승시켰다고 답했으며 물가를 낮췄다고 답한 이는 12%에 불과했다.
최근 발표된 광범위한 관세 조치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평가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5%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를 ‘잘못된 정책’이라 평가했으며 ‘올바른 정책’이라는 평가는 28%에 그쳤다. 특히 대 중국 관세에 대해서도 53%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CNN은 관세 정책의 효과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미국 경제(72%), 세계 위상(60%), 개인 재정(59%) 모두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지배적이었다고 밝혔다. 장기적으로도 53%가 부정적 영향을 우려했으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은 34%에 그쳤다.
이러한 가운데 공화당 내에서도 균열 조짐이 감지된다. 공화당 지지자의 94%는 여전히 트럼프가 경제를 잘 다룰 것으로 ‘신뢰한다’고 답했지만 실제 그의 정책이 경제를 개선했다고 답한 비율은 63%였으며, 생활비를 낮췄다고 인정한 이들은 23%에 불과했다.
관세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보드게임 제작 사업을 하고 있는데 미국 내 생산이 불가능하다”며 “관세로 인해 주문을 이행할 수 없어 손해를 보게 됐다”는 소상공인의 사례도 소개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로 제조업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미국인 대다수는 같은 임금 조건이라면 제조업보다 사무직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