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18일(현지시각) 일본 도쿄 하네다공항에 도착한 아카자와 류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이 전날 열린 미·일 관세 관련 장관급 회담을 마치고 취재진 앞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의 일본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상 유예 기한이 임박한 가운데 일본 정부가 미국과의 조율을 강화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본을 겨냥해 최대 35% 관세 부과를 언급하며 강경한 무역 압박을 이어갔다.
6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카자와 류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은 지난 3일과 5일에 걸쳐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전화 회담을 갖고 관세 문제를 두고 ‘심도 있는 의견 교환’을 했다고 일본 정부가 밝혔다.
일본 정부는 “미국 측과의 적극적인 조율을 계속할 것”이라며 오는 9일로 종료되는 24% 상호 관세 유예 조치 이후의 상황을 놓고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백악관은 관련 보도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일본이 미국산 쌀 수입을 꺼리고 있으며 자동차 무역에서도 “불공정한 거래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2일 “일본은 미국산 쌀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관세율은 24%가 아니라 30% 또는 35%까지도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그가 지난 4월 2일 발표한 24% 수준의 기존 관세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일본은 실제로 자국산 쌀 가격이 급등하면서 최근 몇 달간 미국산 쌀 수입량을 과거 최고 수준으로 늘려왔다. 그러나 트럼프는 4일 “일본과의 협상이 타결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12개국에 보낼 관세 통보 서한을 이미 서명했고, 월요일에 발송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국가 명단에는 일본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시게루 이시바 일본 총리는 지난 3일 “우리 국익을 반드시 지켜내겠다”며 “일본은 미국의 최대 투자국”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일본은 지난 3개월 가까이 협상을 지속해왔지만, 아직 무역협정 체결에는 이르지 못한 상태다.
특히 미국이 추진 중인 자동차 산업 전용 25%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해 일본 정부는 강한 우려를 표하고 있으며 자국 제조업 전반에 걸친 영향 차단을 위해 면제를 요구하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