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뉴욕증시 "엉터리 고용통계 충격" 비트코인 달러환율 '대란"

글로벌이코노믹

뉴욕증시 "엉터리 고용통계 충격" 비트코인 달러환율 '대란"

트럼프 美 '고용 쇼크'…7월 고용, 예상 크게 밑돈 7만3천명 증가 그쳐..연준 FOMC 금리인하 긴급 수정
뉴욕증시 고용통계 충격 달러환율 국채금리 비트코인 최악의 위기 /사진= 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뉴욕증시 고용통계 충격 달러환율 국채금리 비트코인 최악의 위기 /사진= 로이터
"엉터리 고용통계 충격" 뉴욕증시 비트코인 달러환율 '대란" ..연준 FOMC 금리인하 긴급 수정
뉴욕증시 고용통계 충격 달러환율 국채금리 비트코인 최악의 위기

미국의 고용 증가세가 7월 들어 눈에 띄게 약해진 것으로 나타났다.그동안 양호한 증가세를 보였다고 발표됐던 5∼6월 고용 증가폭도 이례적으로 대폭 하향 조정됐다. 노동부는 7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7만3천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뉴욕증시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0만명)를 크게 밑돈 수치다.

실업률은 4.2%로 한 달 전 4.1%에서 반등했다. 이는 전문가 예상에 부합한 수치다. 노동부는 지난 5월 비농업 일자리 증가 폭을 종전 14만4천명에서 1만9천명으로 12만5천명 하향 조정했다. 6월 일자리 증가 폭은 14만7천명에서 1만4천명으로 13만3천명 하향 조정했다. 지난 5∼6월 2개월간 조정된 일자리 조정 폭은 총 25만8천명에 달했다. 노동부가 직전 통계치를 조정하는 것은 자주 있는 일이지만, 이처럼 대폭 조정하는 경우는 매우 이례적이다.

미국의 고용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가져온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양호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뉴욕증시에 따르면새로 조정된 5∼6월 고용 증가 폭이 월평균 1만명대에 머물렀다는 점은 미국의 고용 사정이 이미 위축돼 있었음을 시사한다. 3개월간 월평균 고용 증가 폭은 3만5천명으로, 지난해 월평균 고용 증가 폭이 16만8천명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눈에 띄게 저조해졌다.

경제학자들은 그동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경기 둔화와 고용시장 약화를 초래할 것이란 경고를 지속해왔다.

트럼프 행정부의 강도 높은 이민자 단속과 정부효율부(DOGE)가 이끈 연방정부 인력 구조조정도 고용시장 약화 요인으로 지목돼왔다.

7월 고용은 의료(5만5천명), 사회지원(1만8천명) 부문이 그나마 고용 증가를 유지하게 했다.

연방정부 고용은 7월 중 1만2천명 감소했다. 연방정부 고용은 DOGE가 주도한 공공영역 구조조정을 반영해 올해 들어 총 8만4천명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제조업은 7월 들어 1만1천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 부과가 미국 제조업 부흥을 가져올 것이란 기대와 달리 다수 제조업체가 관세가 초래한 혼란으로 타격을 입은 영향을 반영했다.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3% 올라 시장 전망에 부합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9% 올라 시장 전망(3.8%)을 소폭 웃돌았다.

7월 경제활동참가율은 62.2%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미국의 고용 사정 약화를 반영한 이날 고용보고서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달 30일 기준금리를 현 4.25∼4.50%로 동결한 지 2일 만에 나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동결 후 회견에서 "노동시장에 하방 위험이 명백히 존재한다"고 우려했다.

그는 실업률이 안정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지만, 이는 노동 수요와 공급이 모두 같은 속도로 하락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리 인하 의견을 냈던 미셸 보먼 연준 부의장과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이날 성명을 내고 연준이 고용시장 약화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통화정책 대응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