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률 60%→45% 급락 속 통계국장 전격 해고...월스트리트 "숫자 조작 우려"

트럼프 대통령은 맥엔타퍼 국장이 자신을 나쁘게 보이려고 데이터를 조작했다고 근거 없이 비난했다. 하지만 대통령의 분노를 부른 데이터 수정은 통계 작성 과정의 정상 절차다. 현재 고용 통계 조사는 약 11만 9000명의 고용주에게서 급여 데이터를 모으며, 노동통계국은 추가 데이터가 들어오면 앞으로 두 달 동안 처음 추정치를 정기로 고친다.
실제로 처음 추정치와 최종 수정치 사이 격차는 지난 20년간 줄어들었다. 경제가 빠르게 바뀔 때는 수정 폭이 커지는데, 경기 침체 전후나 팬데믹 이후처럼 변동성이 클 때는 처음 추정치가 전환점을 놓치기 쉽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변화도 이런 변동성을 만들어낸 요인으로 꼽힌다.
◇ 기업 설문 응답률 급감으로 데이터 품질 떨어져
설문조사는 의무가 아니어서 노동통계국은 기업들의 자발적 협조에 기댄다. 한 가지 방안은 재정이나 다른 방식으로 혜택을 줘서 더 많은 기업이 응답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멀리 보면 연방정부는 행정 데이터와 민간 데이터를 더 많이 활용하는 모델로 바뀌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ADP, 페이체크스(Paychex), 워크데이(Workday) 같은 주요 급여 처리업체들이 실시간으로 수백만 개 일자리를 추적하고 있다. 기업들에게 달마다 설문을 보내는 대신 이런 회사들이 이미 모은 급여 데이터를 더 잘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민간 데이터에는 심각한 한계가 있다. 어떤 급여처리업체도 미국 경제 전체를 완전히 보여주지 못한다. 예를 들어 ADP는 큰 기업 위주로 치우쳐 있다. 많은 작은 기업들, 특히 소득이 낮거나 시골 지역 기업들은 급여처리업체를 아예 쓰지 않는다. 이처럼 서로 다른 데이터를 합쳐서 전국을 대표하는 표본을 만들려면 빈틈을 메우는 세밀한 통계 방법이 필요하다.
◇ 예산 부족으로 통계 품질 악화 빨라져
좋은 통계를 만드는 데는 비용이 든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예산 부족 때문에 노동통계국은 소비자물가지수(CPI) 데이터 수집을 약 15% 줄여야 했다. 지난 3월에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데이터 수집 방법을 현대화하려던 연방 경제 통계 자문위원회를 없앴다.
맥엔타퍼 국장의 축출은 월스트리트를 놀라게 했다. 마이클 페롤리 JP모건체이스 수석 미국 경제학자는 제롬 H. 파월 연준 의장 해임을 위협하는 트럼프 대통령 발언을 언급하며 "망가진 계기판을 갖는 것은 말 잘 듣는 조종사를 갖는 것만큼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치인들이 경제 데이터를 건드리면 나쁜 일이 일어난다는 것은 여러 나라 사례로 확인된다. 그리스는 여러 해 동안 재정 적자 규모를 숨겼다. 아르헨티나는 일상으로 인플레이션 수치를 조작했다. 중국은 여러 해 동안 성장률을 부풀려 왔다.
현재 윌리엄 위아트로프스키가 위원장 대행을 맡고 있다. 위아트로프스키는 2015년부터 노동통계국에서 2인자로 일해왔으며 업계에서 존경받는 인물로 평가된다. 케빈 해셋 백악관 경제보좌관은 지난 일요일 "언론과의 만남"에서 "대통령은 자신의 사람이 그곳에 있기를 원한다"며 이번 주 후임자를 지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상원은 새로 지명될 국장을 4년 임기로 승인해야 한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장 좋은 선택은 시장 신뢰와 데이터 수집 전문성, 초당파 독립성을 갖춘 사람이라는 평가다. 정부 통계학자들은 진실을 말하는 사람이어야 하지만 현대화를 이끄는 사람이기도 해야 한다. 수치가 정확할수록 미국 경제는 멀리 보아 더 좋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