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리플· 서클CRCL "은행업 진출 급물살 "스테이블코인 플랫폼 인수"

글로벌이코노믹

리플· 서클CRCL "은행업 진출 급물살 "스테이블코인 플랫폼 인수"

SEC "XRP 항소 최종 종결"
뉴욕증시 암호화폐/사진= 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뉴욕증시 암호화폐/사진= 로이터
리플 은행업 진출 급물살 "스테이블 코인 플랫폼 인수" ... SEC "XRP 과거 전력 삭제"

리플과 서클의 은행업 진출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특히 리플은 스테이블 코인 플랫폼을 인수하면서 결제스스템 최강잘오 부상하고 있다. SEC와 리플 소송 취하후 리플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리플이 스테이블코인 결제 관련 사업 강화에 나선다. 리플은 캐나다의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플랫폼 레일을 2억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스테이블코인 결제 관련 경쟁력을 강화할 목적이다.

리플은 지난해 말 스테이블코인 ‘RLUSD’도 발행하면서 관련 시장에 뛰어들었다. RLUSD의 시가총액은 약 6억2000만달러 수준으로 테더(USDT)나 USDC와 비교해 작다. 페이팔 PYUSD와 도날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일가가 운영하는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의 USD1보다도 적다. 리플은 레일 인수를 통해 고객사들이 직접 가상자산을 보유하지 않아도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를 할 수 있게끔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축할 계획이다. 리플은 또 다른 결제 서비스와도 연동될 수 있게끔 플랫폼을 구축해 고객사가 유연하게 원하는 형태의 결제를 할 수 있게끔 지원할 예정이다.

리플은 이번 인수를 통해 “시장 내 가장 종합적인 스테이블코인 결제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제니어스법(Genius Act) 통과로 스테이블코인이 전통 금융 시스템의 중요한 일부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진 상황과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 모니카 롱(Monica Long) 리플 사장은 “이번 인수를 통해 리플은 스테이블코인·블록체인·글로벌 결제 혁신과 채택을 주도할 독보적인 위치에 서게 됐다”고 강조했다. 투자자들은 이를 XRP 채택 확대와 직결될 가능성으로 보고 있지만, 실제 영향력은 아직 불확실하다.
리플 XRP와 서클 CRCL의 은행업 진출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뉴욕증시에서는 "암호화폐 제도금융권 본격 진입"의 중대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고있다. 가상화폐 엑스알피(XRP·리플) 발행사인 리플랩스가 미국 연방 당국인 통화감독청(OCC)에 은행업 인가를 신청했다.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랩스 최고경영자(CEO)는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리플이 OCC에 국내 은행 인가(national bank charter)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어 "승인되면 우리는 주(州)와 연방 감독을 모두 받게 된다. 이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신뢰성을 나타내는 새롭고 특별한 기준"이라고 설명했다.

뉴욕증시에 따르면 리플의 갈링하우스 CEO는 또 최근 자회사인 '스탠더드 커스터디 앤드 트러스트 컴퍼니'를 통해 연방준비제도 마스터(Federal Reserve master) 계좌를 신청했다면서 이로써 리플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 'RLUSD'의 준비금을 연방준비제도(Fed)와 함께 직접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2천500억달러(약 340조원)가 넘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RLUSD는 규제를 최우선으로 두고 기관들이 기대하는 기준을 설정한다는 점이 돋보인다"고 강조했다

스테이블 코인을 만드는 서클(Circle)도 연방 규제 하의 신탁은행 설립을 공식 추진하고 있다. 서클은 최근 미국 통화감독청(OCC)에 ‘퍼스트 내셔널 디지털 커런시 뱅크(First National Digital Currency Bank)’ 설립을 위한 신탁은행 인가 신청을 제출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 USDC를 중심으로 한 규제 준수 및 기관 대상 수탁 서비스 강화 전략의 일환이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의 아들 에릭 트럼프(Eric Trump)는 X(구 트위터)에서 “ETH 숏이 박살나는 걸 보니 웃음이 난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맞서지 말라. 밟히게 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하락 베팅 세력에 직격탄을 날렸다.

최근 현물 이더리움 ETF에는 약 5억 3,700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시장에서는 이더리움의 중장기 가격 전망도 잇따르고 있다. SEC는 최근 공시를 통해 리플의 레귤레이션 D(Regulation D) 예외 규정 이용 제한을 해제했다. 이 규정은 기업이 SEC의 완전한 등록 절차 없이도 적격투자자에게 무제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도구다. 리플은 과거 증권법 위반 판결로 인해 규칙 506(d)에 따라 이 권한을 박탈당했으나, 이번 면제로 이를 전면 복구하게 됐다.이번 결정은 특정 조건 하에 이뤄졌으며, SEC가 암호화폐 관련 사안을 개별적으로 재평가할 의지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리플은 보다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됐고, 향후 상장 준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레귤레이션 D 활용 재개로 리플은 전략적 목표인 미국 내 은행 허가 취득 등 장기 계획도 더욱 속도를 낼 수 있을 전망이다.리플(XRP) 네트워크에서 총 10억 개 규모의 XRP가 에스크로에서 해제되며 시장 유동성 변화를 예고했다. 블록체인 데이터 추적 플랫폼 웨일알러트(Whale Alert)에 따르면, 이번 언락은 세 건에 걸쳐 이뤄졌으며 전체 가치는 언락시점에 약 32억 8,500만 달러에 달한다.세부적으로는 약 5억 개가 미확인 지갑으로 이동했고, 1억 개와 4억 개는 각각 리플 공식 지갑으로 전송됐다. 미확인 지갑으로 이동한 물량의 경우, 잠재적으로 장외거래(OTC)나 거래소 입금 가능성이 있어 단기 가격 변동성 확대가 우려된다.

<이 기사는 투자 가이드가 아닙니다.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