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대만·EU·韓·日 등 고율 관세 반발…대만 수출품, 日·韓보다 10%P 불리

보도에 따르면, 유럽연합(EU)과 아시아 주요 동맹국, 신흥국까지 관세를 ‘정치 무기’라 규정하며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있으며, 미국에 대항하는 BRICS 결속도 강화되는 모습이다.
◇ 차등 관세 전략, 글로벌 공동 대응으로 맞서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4월 ‘해방의 날’ 관세를 발표하고, 단계적으로 최대 145%(중국)에 이르는 수입품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7월 말까지 미국의 관세 수입은 1300억 달러(약 180조 원)로 지난해 대비 240% 늘었고, 연간 최대 3000억 달러(약 417조 원)에 이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그러나 공급망 차질, 물가 상승, 교역국 보복 조치 등 부작용도 커지고 있다.
EU는 자동차 등 주요 수출품에 15% 관세를 수용하는 대신, 미국이 위협했던 30% 인상은 막아내는 합의를 했다. 그러나 브뤼셀 고위 관계자는 “예기치 않은 상황이 생기면 언제든 보복 관세를 재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시아에서도 일본과 한국은 각각 자동차·철강 관세를 15%로 낮추는 합의에 도달했지만, 추가 부과 여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
◇ 인도·대만, 경제 충격 직면
인도는 미국 수출품의 절반가량이 50% 관세에 직면했다.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지속하는 인도 정부는 이를 비판하는 미국·EU에 맞서 “부당하고 불합리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오는 8월 27일부터는 기존 25%에 추가 25%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며, 이는 대미 수출 870억 달러(약 121조 원)에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지난 10일 포커스타이완 보도에 따르면, 대만은 지난 8월 7일부터 기존 최혜국(MFN) 관세와 함께 20%의 ‘잠정 추가 관세’가 미국 수출품에 적용됐다. 대만 공작기계의 경우 종전 4.7%였던 관세가 합산 24.7%로 올라, 일본·한국(각 15%)보다 10%포인트 높다. 대만 달러 환율도 최근 몇 달 새 약 13% 절상돼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만 노동계와 업계 단체는 대량 해고 위험을 경고하며, 정부에 보조금 지급, 실업수당 신청 절차 간소화, 환율 안정책 등을 촉구하고 있다.
◇ BRICS, 미국 견제 위한 경제협력 강화
트럼프 관세 공세는 BRICS 내부 결속을 가속화하고 있다. 러시아·인도·중국은 상호 무역과 에너지 협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인도 모디 총리는 이달 말 중국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해 브릭스 경제 강화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브라질 룰라 대통령은 로이터 인터뷰에서 “트럼프가 미국 중심의 일방 거래를 위해 다자무역 체제를 깨뜨리고 있다”고 비판하며, 공동 대응을 제안했다. 현재 BRICS는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약 40%, 인구의 절반을 차지한다.
전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존 볼턴은 CNN 인터뷰에서 “중국에 관세 유예를 주면서 인도에 고율 관세를 적용하면, 인도가 러시아·중국과 더 가까워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은 미국의 경쟁국뿐 아니라 전통적 동맹국들까지 반발을 불러일으키며 글로벌 무역 질서와 동맹 구도에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변화가 미국 무역 전략의 역풍임을 지적하며 무역 정상화와 외교 조율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