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공식 지원 종료…최대 60달러 연장 비용 논란, “AI 최적화 노트북 구매 유도” 주장도

◇ “수백만 명 보안 위협, 추가 부담까지”…지원 종료 논란 확산
마이크로소프트는 2015년 윈도우10 출시와 함께 약 10년간 보안 패치를 제공해 왔다.
하지만 오는 10월 14일 이후 보안 업데이트와 기능 개선, 기술 상담을 모두 중단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컴퓨터 바이러스, 랜섬웨어 등 각종 사이버 공격에 노출되는 만큼, 세계적으로 윈도우10을 쓰는 이용자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이번 집단소송 원고인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렌스 클라인(Lawrence Klein)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이런 위험을 알면서도 지원 중단을 결정했다”고 주장했다.
지원이 끊긴 뒤에도 윈도우10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최신 보안 기술이 적용되지 않아 사고에 취약하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안전 우려를 의식한 듯, ‘연장 보안 업데이트(ESU)’ 제도라는 유료 대책을 마련했다. 일반 이용자는 1년에 30달러(약 4만 원)에서 최대 60달러(약 8만 원)를 내고 1년간 보안 패치를 이어받을 수 있다. 다만 이마저도 1년 이후에는 중단될 예정이다. 기업용은 3년까지 연장된다. 컴퓨터 업계에서는 “연장 지원 비용과 관련해 소비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반응이 나온다.
특히 지난해부터 판매된 일부 최신 컴퓨터에서만 설치되는 윈도우11 업그레이드는 최신 컴퓨터에서만 설치할 수 있는데, 전체 윈도우10 컴퓨터 중 약 2억4000만 대는 성능이나 부품(특히 TPM 2.0이라는 보안 칩)이 최신 운영 체제를 돌리기에 부족해서 윈도우 11로 바꾸지 못한다. 이 때문에 상당수 사용자는 예상치 못한 비용으로 새 기기를 사거나, 유료 연장 보안 업데이트에 의존해야 할 처지가 됐다.
◇ “AI 시대 새 노트북 사실상 강요”…소송, 소비자 권리 침해 지적
클라인은 이번 소송에서 “윈도우11은 인공지능(AI) 기반 프로그램(코파일럿 등)이 기본 포함돼 최신 노트북에서만 제대로 쓸 수 있다”며, “결국 기존 기기 사용자는 새 제품을 사실상 강제로 사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소송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정책은 소비자 권리와 선택지를 줄일 뿐 아니라 자사 AI 상품의 점유율을 높여 다른 업체 진입까지 어렵게 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클라인 측은 “윈도우10 이용자가 전체의 10% 미만으로 줄어들 때까지 계속 보안 지원을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 조건에 따르면 윈도우10 기반 PC 7억 대 가운데 6억 대 이상이 다음 운영체제로 넘어가기 전까지 무료 지원을 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IT 업계 내부에선 “윈도우10 지원 종료 이후 각 가정이나 기업이 보안 취약과 추가 비용을 면하려면 비용을 내거나 새로운 컴퓨터를 사야 하는 실정”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보안 전문가들도 “새 운영체제 업그레이드가 불가피하게 돈과 시간 부담을 유발하는 만큼, 준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번 소송은 윈도우10 종료가 가져올 세계적 여파와 함께, 컴퓨터 바꿀 여력이 없는 사용자 보호책 논의, 유료 연장 기간 확대 등에 대한 목소리도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