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라질 정부가 미국의 50% 관세폭탄 부과로 타격을 입게 된 자국의 수출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300억 헤알(약 5조5000억 원) 규모의 금융 지원책을 내놨다.
13일(현지시각) 알자지라에 따르면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이날 브라질리아 대통령궁에서 ‘브라질 주권 수호’ 계획을 발표하고 “이 조치는 수출 의존 기업을 위한 첫 단계”라고 밝혔다.
이날 공개된 계획에는 수출 기업에 대한 대출 제공, 미국 관세 영향 기업의 세금 납부 유예, 중소기업에 대한 50억 헤알(약 9200억 원) 규모의 세액 공제, 주문 취소에 대비한 보험 접근성 확대 등이 포함됐다.
또 미국 수출이 막힌 품목의 국내 공공 조달을 장려하는 조치도 담겼다. 이 조치는 즉시 시행되지만 의회의 승인이 없으면 4개월 뒤 종료된다.
룰라 대통령은 “위기가 닥쳤을 때 두려워하거나 불안해해서는 안 된다. 위기는 새로운 것을 창조할 기회”라며 “브라질에 미국이 제재를 부과한 이유는 없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브라질산 수입품에 5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백악관은 당시 성명에서 “브라질 정부의 전 대통령 자이르 보우소나루와 수천 명의 지지자에 대한 정치적으로 동기 부여된 박해와 검열, 기소는 법치주의를 훼손하는 심각한 인권 침해”라고 주장했다.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은 2022년 대선 패배 후 쿠데타 시도 혐의로 현재 가택 연금 상태다.
브라질 육류수출업협회(ABIEC)의 로베르투 페로사 회장은 관세 발표 직후 “미국 시장에 수출을 지속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불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