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 국방부, '전쟁부'로 명칭 회귀 추진…트럼프 '공격 철학' 천명

글로벌이코노믹

미 국방부, '전쟁부'로 명칭 회귀 추진…트럼프 '공격 철학' 천명

"방어만으론 부족"…공격적 '전사 정신' 회복 선언
의회 승인 등 법적 절차 남아…국내외 파장 촉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8월 25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국방부 명칭을 '전쟁부'로 변경하는 방안을 '곧 1주일 내'에 추진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사진=UPI/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8월 25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국방부 명칭을 '전쟁부'로 변경하는 방안을 '곧 1주일 내'에 추진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사진=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방부(Defense Department)의 명칭을 과거 '전쟁부(Department of War)'로 되돌리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혀 나라 안팎으로 상당한 파장을 낳을 전망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이름 바꾸기를 넘어, 미국의 군사 철학을 '방어'에서 '공격'으로 전환하겠다는 상징적인 선언으로 해석된다. 방어라는 개념에 머무르지 않고 공격적인 '전사 정신(Warrior Ethos)'을 되살려야 한다는 뜻이지만, 이름 변경을 둘러싼 법적, 정치적 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5일(현지시각) UPI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Oval Office)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던 중 기자들 앞에서 국방부 이름 변경 계획을 처음 밝혔다. 최근 워싱턴 D.C.에 주 방위군이 배치된 일에 관해 이야기하던 중 나온 이 발언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앞으로 일주일 정도 안에" 이름을 바꿀 수 있다고 시기까지 말했다.

그는 "피트 헤그세스는 내가 '전쟁부'라고 부르는 일에 관해 놀라운 구실을 해왔다"며 "우리는 국방부라고 부르지만, 이름을 바꿀 것이다. 아마 곧 그에 관한 정보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마 그 변경은 앞으로 일주일 정도 안에 이루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름 변경의 필요성을 두고 "나는 방어만 하고 싶지 않다. 우리는 방어도 원하지만, 공격(Offense)도 원한다"고 설명했다. 또 "예전에는 '전쟁부'라고 불렀고, 그게 더 강한 느낌을 줬다"며 "알다시피 우리는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이겼다. 우리는 모든 것에서 이겼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에도 여러 차례 폭스뉴스 출신 측근인 피트 헤그세스를 '전쟁부 장관(Secretary of War)'이라 부르며 국방부의 '전사 정신' 회복을 다짐해왔다.

◇ '국방부'에서 '전쟁부'로…78년 만의 회귀 시도

미국 전쟁부는 1789년부터 1947년까지 이어졌으나,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7년 국가안보법(National Security Act of 1947)에 따라 국방부로 이름을 바꿨다. 당시 조치는 냉전 체제에 맞서 군사력을 통합하고, '방어 중심'의 이미지를 만들려는 목적이었다.

따라서 이름 변경은 대통령 행정명령만으로는 불가능하고, 1947년 국가안보법을 고치려면 의회의 승인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대통령이 단독으로 이름을 되돌릴 권한이 없는 만큼, 이 사안은 강경 보수 지지층에게는 '강력한 미국'의 상징으로 환영받겠지만, 민주당 같은 반대 세력에게서는 '군국주의 퇴행'이라는 거센 비판에 부딪힐 전망이다.

◇ 정치적 선언…동맹·경쟁국에 보내는 강력한 신호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이겼고, 그때는 전쟁부라고 불렀다. 나에게는 그것이 바로 본질"이라며 "국방부로 바꾸기 전 전쟁부였을 때 우리가 믿을 수 없는 승리의 역사를 가졌다는 점을 모두가 좋아한다"고 다시 한번 뜻을 분명히 했다.

이번 발언은 단순한 정책 제안을 넘어,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승리 지향 군사 철학'을 담은 정치적인 선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한국 대통령과 회담에서 나온 발언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일본 같은 동맹국은 물론 중국과 러시아 같은 경쟁국에도 미국의 공격적인 군사 기조를 분명히 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실제 이름 변경이 단기간에 이루어질 가능성은 낮지만, 그 상징성만으로도 국제 관계에 상당한 메시지를 던진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