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 인도 총리 7년 만의 방중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비롯한 각국 정상들을 초청해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에 맞서는 대항 구도를 드러내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3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톈진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는 모디 총리의 7년 만의 중국 방문으로, 최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산 제품에 50% 관세를 부과한 데 따른 뉴델리의 불만이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모디와 시 주석은 31일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윤 선 미국 스팀슨센터 선임연구원은 “서방, 특히 미국에 의해 크게 압박받은 나라들이 모이고 있다”며 “중국은 이들을 하나로 묶어 대안적 국제질서를 선보이려 한다”고 말했다.
◇ 참석국 확대와 中 주도권 강조
이번 회의에는 모디·푸틴 외에도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등 약 20개국 정상이 참석해 사상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시 주석은 정상들을 위한 연회를 열고 양자 회담도 진행할 예정이다.
◇ 깊은 불신과 인도 ‘약한 입지’
다만 중국·인도 관계는 여전히 험로다. 두 나라는 1962년 국경전쟁 이후 대립을 이어왔고 2020년 국경 충돌 이후 긴장이 재점화됐다. 지난 5월에는 중국이 지원한 파키스탄과 인도가 단기 무력 충돌을 벌이기도 했다. 브라마 첼라니 인도 정책연구센터 교수는 “트럼프의 관세와 중국의 파키스탄 군사 지원 직후라는 점에서 모디의 방중 시기는 최악”이라며 “모디 총리가 약세 속에서 시 주석과의 화해를 시도하는 모양새”라고 지적했다. 싱가포르 국립대 연구원 아밋 란잔은 “양국의 불신이 깊어 단기간에 관계를 복원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 트럼프 정책이 만든 균열
수브라마니얌 자이샨카르 인도 외교부 장관은 방중 시점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와 직접적 인과관계는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전문가들은 미국이 인도를 중국 견제의 핵심 파트너로 육성해온 과거 기조와 달리 트럼프 행정부가 인도를 압박하면서 뉴델리가 균형 외교를 모색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산제이 바드와즈 인도 네루대 교수는 “인도는 그동안 미국에 지나치게 의존했지만 트럼프의 관세 이후 중국 쪽에도 무게를 두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FT는 그러나 중국 역시 인도에 지나친 주목이 쏠리는 것을 경계할 것이라며 시 주석은 모디와 별도 회동을 가질 수는 있겠지만 중국은 이번 회의에서 인도의 존재를 전면적으로 부각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