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상무부, OFS·코닝 등 미국 기업에 33.3~78.2% 관세 부과
"불법 마약 판매" 美 제재에 대한 '맞불'…무역 분쟁, '비경제적' 분야로 확산
"불법 마약 판매" 美 제재에 대한 '맞불'…무역 분쟁, '비경제적' 분야로 확산

이번 조치는 미국 재무부가 펜타닐 전구체 화학 물질을 판매했다는 혐의로 광저우에 본사를 둔 중국 화학 회사에 제재를 가한 지 불과 몇 시간 만에 발표되었다고 4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중국 상무부는 4일 성명을 통해 미국 광섬유 회사인 OFS Fitel(33.3%), 코닝(Corning, 37.9%), 드라카 커뮤니케이션스 아메리카(Draka Communications Americas, 78.2%) 등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이 관세는 즉시 발효되었으며 2028년 4월까지 유지될 예정이다.
중국은 이미 2023년 4월부터 미국산 특정 광섬유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왔다. 그러나 중국 상무부의 6개월간 조사 결과, 미국 수출업체들이 용도는 비슷하지만, 기술 사양이 약간 다른 다른 종류의 광섬유로 '잘못된 라벨'을 붙여 관세를 회피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은 "공정하고 자유로운 무역을 수호하면서 무역 구제 조치를 신중하게 적용해 왔다"고 강조하며, 이번 조치가 "그 효과를 보장하고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이번 중국의 조치는 미국 재무부가 광저우 텅웨 케미칼(Guangzhou Tengyue Chemical)과 그 대표자 2명에 대해 제재를 가한 직후에 나왔다.
미국은 이들이 합성 오피오이드와 불법 약물의 미국 선적에 "직접 관여"했다고 주장하며, 회사와 대리인의 미국 기반 자산을 동결했다. FBI는 불법 마약 운송 혐의로 광둥 회사와 대리인 등에 대한 연방 기소를 발표했다.
미·중 양국 간의 무역 긴장이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합성 오피오이드 약물인 펜타닐과 관련된 문제는 여전히 주요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중국 제품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이 펜타닐 유입을 막기 위해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면서 부과한 20%의 관세를 포함하여 미국에 들어오기 위해 총 30%의 관세를 부과받고 있다.
중국은 마약 퇴치 정책을 세계에서 가장 엄격하다고 옹호하며 미국에 이 문제를 정치화하지 말라고 경고해 왔다. 그러나 상호 존중이 있다면 마약 퇴치 정책에 대해 미국과 협력할 의향이 있음을 표명했다.
미국과 중국은 현재 90일간의 관세 휴전을 연장했으며, 다음 무역 협상은 11월 10일 이전에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와 시진핑 주석은 한국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담 전후로 만날 가능성이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