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유럽 철강업계 "산업 살아남기 위한 보호조치 필요해"

글로벌이코노믹

유럽 철강업계 "산업 살아남기 위한 보호조치 필요해"

벨기에 브뤼셀의 EU 집행위원회 본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벨기에 브뤼셀의 EU 집행위원회 본부. 사진=로이터

유럽 철강업계가 유럽연합(EU)에 철강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미국의 50% 철강 관세로 인해 자국 철강 제품 수출 경쟁력이 악화하자 이와 같은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6일(현지 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독일 대형 철강업체 티센크루프의 일제 헨네 감독위원회 의장은 "보호 조치가 없다면 철강 산업은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EU의 철강 산업은 이미 생산비 상승과 함께 중국산 저가 수입품 탓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유럽철강협회에 따르면 EU는 지난해 2800만t의 철강을 수입했다.

이는 EU 전체 철강 판매량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다. 중국이 본격적으로 저가 철강을 수출하기 전인 2012~2013년에는 EU의 철강 수입 규모가 지난해의 절반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EU 철강업체들은 지난해에만 1만8000개의 일자리를 줄여야만 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철강에 50%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상황이 악화했다.

EU는 고율 관세 때문에 연간 380만t에 달했던 미국 수출 물량 대부분이 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미국 수출이 어려워진 중국의 철강이 유럽에 몰려들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도 철강산업을 포함한 핵심 중공업을 집중 관리 대상으로 삼고 있다.

집행위는 이달 안에 새로운 보호조치를 발표할 예정이지만, 세부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집행위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인 지난 2019년 수입 철강에 25%의 관세를 도입했지만, 이후 세율이 완화됐다.

유럽철강협회는 EU가 필요로 하는 철강 제품에 대해선 무관세를 허용하되, 일정 수준을 넘는 수입에는 사실상 금지 수준의 고율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프랑스를 포함한 11개 EU 회원국은 일정 쿼터를 초과하는 수입 철강에 대해 50%의 관세를 부과해 수입을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