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관세액 14억 달러 '급증'…포드·GM, 70억 달러 이익 감소 전망
북미 공급망 의존 높은 미국 '빅3' 집중 타격…소비자, 신차 구매 포기
북미 공급망 의존 높은 미국 '빅3' 집중 타격…소비자, 신차 구매 포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자동차 관세가 미국 자동차 산업의 혈맥인 북미 공급망을 끊고, 기업과 소비자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미 경제방송 CNBC가 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관세 장벽으로 피해가 7월부터 가시화하면서 미국 제조업의 근간이 흔들린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3월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멕시코와 캐나다산 자동차·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조치가 7월부터 본격적인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재고 비축으로 충격을 흡수했지만, 7월부터 비용 부담이 본격화됐다.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 분석에 따르면, 7월 한 달에만 관세 부과액은 14억 달러에 달해 이전 월평균의 2.5배로 치솟았다. 특히 관세 면제 대상이었던 멕시코산 자동차 비중이 종전 90%에서 20%로 급락하며 대부분의 북미산 제품이 관세 장벽에 갇혔다.
◇ 공급망 의존 높은 ‘빅3’ 직격탄
피해는 북미 통합 공급망에 깊이 의존해 온 미국 '빅3'에 집중됐다. 포드는 올해 순이익이 20억 달러 감소할 것으로, 제너럴 모터스(GM)는 50억 달러의 이익 타격을 예상했다. 최근 한국, 일본산 자동차 관세가 15%로 인하되면서 북미 파트너들은 가격 경쟁력에서 이중고를 겪게 됐다.
◇ 노동자·소비자로 전가되는 관세 비용
기업의 손실은 노동자의 소득 감소와 소비자의 부담 증가로 전가되고 있다. 자동차 노동자들은 수천 달러의 성과급이 깎일 위기에 처했고, 소비자들은 신차 구매를 포기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연준)는 최근 기업 설문조사에서 신차 판매는 부진한 반면, 기존 차량 유지를 위한 부품·서비스 수요만 늘었다고 밝혔다. 새 차를 살 여력이 없어 낡은 차를 고쳐 타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는 의미다.
이번 관세 정책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의 근간을 흔들고 북미 자동차 생태계의 붕괴를 재촉하고 있다. 기업 수익성 악화가 고용 불안과 내수 소비 위축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되면서, 관세의 후폭풍이 미국 경제 전반을 위협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