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련공은 없고 비자는 막혀"…투자 경고 나온 한·미 경제동맹
'美 역사상 최대 단속'…핵심 기술인력 300여 명 귀국에 공정 차질
'美 역사상 최대 단속'…핵심 기술인력 300여 명 귀국에 공정 차질

미국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현대차그룹 전기차 배터리 공장 완공에 비상이 걸렸다. 미국 역사상 단일 사업장 최대 규모의 이민 단속으로 핵심 기술인력이 대거 추방되면서, 완공이 최소 3개월 이상 늦춰질 전망이다. 숙련 기술인력 부재와 경직된 비자 제도가 맞물린 이번 사태는 미국의 산업 정책과 이민 정책의 충돌을 드러내며 한미 경제 협력의 중대 분수령이 되고 있다.
미 정치전문 매체 '더힐'에 따르면 현대차의 호세 무뇨스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 겸 북미법인장은 지난 11일(현지시각) 디트로이트에서 "이번 단속 탓에 최소 2~3개월의 공정 지연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단속된 기술자들이 모두 한국으로 돌아가길 원하며, 이들의 빈자리를 채울 만한 인력은 미국 내에 거의 없다"고 토로했다.
'美 숙련공 부재'…산업-이민 정책 충돌
지난 4일 미 국토안보부 산하 이민세관단속국(ICE)은 조지아주 엘라벨에 건설 중인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을 급습해, 현장 근로자 약 500명을 구금했다. 이들 대부분은 전기차 배터리 조립 라인 구축 등 특수 장비 설치 공정에 투입된 한국 국적 기술자들이었다. 한국 외교부에 따르면 구금됐던 인력 300여 명은 석방 절차를 거쳐 12일 한국에 도착할 예정이다.
韓 기업 투자 위축 경고…비자 제도 개선 시급
이번 사태는 단순한 이민법 단속을 넘어 양국 간 외교와 투자 문제로 번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행정부를 향해 숙련 기술직에 대한 비자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건설 및 장비 설치 단계에 필요한 인력은 장기 체류 노동자가 아니며, 미국 내에서 이런 숙련 노동자를 찾기는 어렵다"며 "합법적 비자를 통해 한시적으로 투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앞으로 한국 기업들이 미국 투자에 주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역시 비자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더했다. 정 회장은 "이번 사건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하며,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귀국하게 돼 다행"이라면서도 "비자 규정은 매우 복잡한 문제로, 양국 정부가 긴밀히 협력해 더 나은 제도를 만들어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