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연방정부 셧다운 임박에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 우려

글로벌이코노믹

美, 연방정부 셧다운 임박에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 우려

지난 22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가 거래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2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가 거래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연방정부가 1일(이하 현지시각) 자정부터 셧다운(업무 정지)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이 주목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민주·공화 양당이 예산 협상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서 셧다운이 불가피해졌다고 지난달 30일 보도했다.

◇ 경제지표 지연·연준 운신 폭 축소


로이터에 따르면 과거 셧다운은 대체로 시장 충격이 제한적이었지만 이번에는 다르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장기화할 경우 고용보고서·물가지표 등 핵심 경제통계 발표가 지연되거나 무산돼 투자자들이 불확실성에 직면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이 경우 미 연방준비제도가 경제 상황을 “눈가리고 운전”할 수밖에 없어 기존 전망대로 올해 남은 기간 두 차례 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고수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 채권시장·거래 규제에 직격탄


국채금리 곡선은 추가 완화 기대가 반영되며 단기물과 장기물 금리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TD증권은 “경기 둔화를 가늠할 근거 자료가 사라지면 방어적 포지션과 대체 데이터 의존이 늘어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셧다운이 현실화하면 금융규제 당국도 사실상 마비된다는 지적이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인력의 90% 이상을 휴직시키고 기업 공시 심사·시장 감시 기능을 중단하게 된다.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역시 대부분의 직원을 강제 휴직시키며, 선물·옵션 시장 참가자들의 포지션 보고가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연준과 은행감독기관,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은 의회 예산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정상 운영된다.

◇ IPO·기업공시 차질 불가피


기업공개(IPO) 절차도 중단된다. 상장을 추진 중인 기업들은 SEC의 승인이 없이는 절차를 진행할 수 없어 최근 활기를 띤 뉴욕 증시 기업공개 시장에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다만 전자공시시스템(EDGAR)은 외부 계약업체 자금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당분간은 제출이 가능하지만 장기화할 경우 이마저 중단될 수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