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전기차 시장, 연방 보조금 종료로 ‘속도 조절’ 전망

글로벌이코노믹

美 전기차 시장, 연방 보조금 종료로 ‘속도 조절’ 전망

지난 2022년 11월 30일(현지시각) 미국 오하이오주 로즈타운의 폭스콘 전기차 생산공장에서 근로자들이 완성되지 않은 로즈타운 모터스의 전기 픽업트럭 ‘인듀어런스’를 조립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22년 11월 30일(현지시각) 미국 오하이오주 로즈타운의 폭스콘 전기차 생산공장에서 근로자들이 완성되지 않은 로즈타운 모터스의 전기 픽업트럭 ‘인듀어런스’를 조립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전기차 시장이 지난 3분기 급성장을 기록한 이후 연방 보조금 종료로 성장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BBC는 업계 전문가들을 인용해 “전기차 판매가 단기적으로 한계에 부딪칠 수 있다”고 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BBC에 따르면 올해 미국 내 전기차 판매량은 약 120만대로 4년 전의 5배 수준까지 늘었다. 지난 8월 기준 전체 신차 판매의 10%를 차지하며 사상 최고 비중을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달 말 종료된 차량당 최대 7500달러(약 1030만 원)였던 연방 보조금의 효과가 사라지면서 4분기 이후 수요가 둔화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짐 팔리 포드자동차 최고경영자(CEO)는 “전기차 산업은 활기를 유지하겠지만 시장 규모는 예상보다 훨씬 작아질 것”이라고 말했고, 폴 제이컵슨 GM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보조금 종료 후 전기차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여전히 전기차 전환 속도에서 유럽과 중국에 뒤처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지난해 유럽의 전기·하이브리드차 비중은 전체 신차 판매의 약 30%, 중국은 절반 가까이에 달한 반면 미국은 10% 수준에 머물렀다.

이 같은 격차는 정책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조 바이든 전 행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차 비중을 절반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대규모 보조금, 충전 인프라 투자, 연방정부 차량의 전기차 전환 등을 추진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기후변화 대책을 “사기극”으로 규정하며 관련 정책 다수를 철회했고 보조금 제도 역시 지난달 종료됐다.

가격 경쟁력도 여전히 미국 시장의 과제로 꼽힌다. 자동차시장 조사업체 켈리블루북에 따르면 8월 기준 미국 전기차의 평균 거래가격은 5만7000달러(약 7800만 원)로 전체 차량 평균보다 16% 높았다. 중국 비야디 등 저가 브랜드의 미국 진출이 사실상 봉쇄된 것도 부담 요인이다.

이로 인해 현대자동차는 아이오닉 시리즈 가격을 인하하며 보조금 공백을 메우기로 했지만, 테슬라는 일부 모델의 월 리스 요금을 인상했다. S&P글로벌모빌리티의 스테파니 브린리 연구책임자는 “보조금 종료와 관세 인상이라는 이중 압박이 맞물리면서 내년은 힘든 시기가 될 것”이라며 “미국 자동차 시장 전체 판매가 2026년 약 2%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미국 내 전기차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미국안보프로젝트(ASP)의 캐서린 유스코 연구원은 “보조금은 시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였는데, 이제 미국은 다시 격차를 메워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고 BBC는 전했다.

한편, 업계 일각에서는 “전기차가 최종 해답인지 단정하기는 이르다”는 의견도 있다. 브린리 연구책임자는 “전기차가 유일한 해법이라는 전제 자체가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