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화적 통화정책 속 일상 물가 상승이 서민 가계에 더 큰 위협

글로벌 금융시장은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지만, 소비자 물가 상승 압력이 향후 경기과열과 더불어 서민 가계에 더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난 17일(현지시각) 배런스가 경고했다.
과거 시장 붕괴와 달라진 금리 기조
1929년 대공황 전·후, 2000년 닷컴 버블 붕괴 직전, 2007년 서브프라임 사태 전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연방기금금리를 크게 인상했다. 반면 지난해부터 연준은 단기 금리를 1.25%포인트 인하해 현재 목표 범위를 4.00~4.25%로 유지하고 있다. 이런 완화적 통화정책은 금융 버블 위험을 낮추는 대신 성장 궤도를 지지하는 안전장치로 평가된다.
역대급 금융여건 완화 속 쪼그라든 신용 차이
지금 투자자들이 받는 대출 이자 차이는 지금껏 가장 작은 수준이라, 금융시장이 예전처럼 크게 흔들릴 가능성은 낮다. 하지만 최근 두 은행에서 돈을 빌려준 사람들이 갑자기 돈을 돌려달라고 요청받으면서, ‘문제 은행이 하나 나오면 또 다른 은행에서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CEO가 경고했다.
확장 재정·달러 약세가 불러올 물가 불안
2025 회계연도 미국 재정적자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6.0%에 달해 전쟁과 불황 없는 상황에서 5%를 넘긴 것은 사상 처음이다. 막대한 재정 지출은 장기 금리를 억제하고, 저금리 장기화에 따른 달러 약세가 실물 자산 가격과 소비자 물가를 동반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지난 17일 금값이 한 번에 크게 오르며 온스당 4379달러(약 623만 원)를 넘었는데, 이 수치는 투자자뿐 아니라 소비자 물가도 더 오를 수 있음을 알리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시장 관계자는 ‘낮은 금리는 주식과 채권에는 좋지만, 집값이나 교육비 같은 생활비 부담을 키워 결국 서민 가계에 더 큰 압박으로 돌아온다’고 말했다. 월가의 큰 위기에만 관심을 기울이다 보면, 실생활 물가 상승이라는 더 직접적인 위험을 놓칠 수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