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 GM, 파나소닉 등 생산 계획 재고·직원 해고…EV 보급 둔화, 정책 불확실성 증대
트럼프 행정부의 세금 감면 종료·환경 기준 철회 가능성
트럼프 행정부의 세금 감면 종료·환경 기준 철회 가능성
이미지 확대보기특히 북미 지역에서는 모든 계획된 공장이 가동된다면 현재 수준에서 4배 증가할 것으로 보여, 향후 몇 년간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생산이 과잉 공급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고 21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이러한 공급 과잉 우려는 이미 현장에서 현실화되고 있다. 포드 모터(Ford Motor)는 한국 파트너 SK온과 함께 켄터키주에 58억 달러 규모의 배터리 공장을 건설 중이지만, 본격적인 생산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포드는 전기차 관련 투자를 축소하고 있으며, 최고재무책임자 셰리 하우스(Sherry House)는 지난달 실적 발표에서 "2년 전, 우리는 계획된 배터리 용량을 35% 줄였다"고 밝혔다.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 GM) 역시 지난달 오하이오와 테네시에 위치한 한국의 LG 에너지 솔루션과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총 1,550명의 일자리를 해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GM은 이번 조치가 "단기적인 전기차 도입 속도 둔화와 변화하는 규제 환경에 대한 대응"이라고 설명했다.
일본의 파나소닉 홀딩스(Panasonic Holdings)도 7월에 개장한 캔자스의 배터리 공장에서 본격적인 생산 시작 시기를 아직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회사는 2026 회계연도 말에 그 시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최대 고객 중 하나인 테슬라(Tesla)의 판매 감소로 타격을 입었다.
바이든 전 행정부는 중국 공급업체들이 EV 배터리 글로벌 시장 점유율 70%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 전기차 강국과 경쟁하기 위해 수요를 증대하고 미국 공급망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세금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이에 따라 미국 및 외국 기업들로부터 자본 지출 계획이 이어졌다.
하지만 미국 내 전기차 도입은 자동차 제조사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디게 성장했으며, 더욱이 트럼프 행정부는 전기차 구매자에 대한 세금 감면을 종료하고 차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환경 기준을 철회할 준비를 하고 있어 정책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 따르면, 9월 기준으로 미국 전역에서 1000건 이상의 배터리 관련 프로젝트가 진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불확실성은 투자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유럽은 이미 전기차 지원 축소의 영향을 목격하고 있다. 폭스바겐(Volkswagen) 등 자동차 제조업체에 공급업체를 제공하는 스웨덴 배터리 제조업체 노스볼트(Northvolt)가 파산 신청을 한 사례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냉각이 미국만의 문제가 아님을 보여준다.
이처럼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수요 예측 실패와 정책 변동성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며 대대적인 조정기를 맞고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2026 대전망] 트럼프 시대, 韓 외교 안보의 ‘실용과 원칙’ 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110061007385c35228d2f5175193150103.jpg)












